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麗末鮮初 蔚山地域의 磁器에 대한 硏究

A Study on Ceramics in Ulsan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 Regarding changes from celadon to Buncheong ware

  • 158

麗末鮮初는 역사적으로 왕조가 교체되는 변화의 시기라 할 수 있고, 도자사적으로 볼 때는 고려청자에서 조선분청사기로 변화되는 과도기라고 할 수 있다. 고려말기의 사회ㆍ경제ㆍ정치적 혼란은 청자 생산의 확산과 수요층의 증가를 가져왔다. 그러나 전문화되지 못한 공인들에 의해 청자가 제작되어 결과적으로 청자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였다. 조선초기에는 여러 개혁정책을 표방하여 안정화를 기하였고, 자기의 공납제도도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울산지역에서도 고려시대 말기와 조선시대 초기에는 이러한 사회ㆍ경제ㆍ정치적 영향 하에 자기의 제작이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고려말기의 진현ㆍ압골가마, 조선초기의 직동리가마와 고지평가마가 있다. 이 세 유적에서 출토된 자기를 검토해본 결과 울산지역의 자기가 여말선초 기종, 기형, 문양 등의 변화양상과 청자의 제작연대 하한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자기의 기종은 점차 다양하게 제작되고, 발의 기형은 외반 구연이 증가하게 된다. 접시 중 팔각접시는 제작되지 않으며, 접시의 기형이 세분된다. 문양은 흑백상감기법의 모란문이 점차 사라지고 인화기법의 국화문류, 집단연권문으로 변화한다. 조선초기에는 요도구 중 갑발이 출토되고, 명문자기의 출토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고급자기의 생산과 공납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고지평가마에서 출토된 자기를 볼 때 울산지역에서 청자는 15세기 중반에도 꾸준히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eriod between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is the period of changes when dynasty is historically changed, and from the ceramics historically perspective, it is the transition period from celadon to Buncheong ware of Joseo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fusion in the late Goryeo brought about expansion in production of celadon and increase in demand. However, celadon was made by unprofessional officials, which finally caused the decrease in quality of celadon. The early Joseon claimed to advocate various policies for stabilization and prepared the foundation for a tribute system of ceramics. In Ulsan, the ceramics were made under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impact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The representative remains were Jinhyun or Algolgama of the late Goryeo and Jikdongligama and Gojipyeonggama of the early Joseon. Through the ceramics excavated from the three remains, it is possible to know changes in types, shapes, and patterns and the youngest production age of celadon. The shapes of ceramics were more diversely manufactured and Woibanguyeun rose in terms of shapes of supports. Among plates, octagon plates were not made and the shapes of plates ware divided. With regards to patterns, peony patterns of the white and black inlaid technology were increasingly decreased and chrysanthemum and Jibdanyeonkwonmun patterns of Inwha technique(the printing technique) rose. In the early Joseon, Gabbal was excavated among a kiln tools and loyal ceramics were more largely excavated, which means that the production and a tribute of luxurious ceramics were made. In addition, celadon excavated from Gojipyeonggama shows that it is constantly manufactured in the middle of 15th century in Ulsan.

Ⅰ. 머리말

Ⅱ. 유적 사례 및 연대

Ⅲ. 유물 분석

Ⅳ. 여말선초 울산지역 자기의 변화

Ⅴ. 청자에서 분청사기로의 변화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