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고분 출토 고배로 본 5세기대 낙동강하류역의 소지역성 연구

Study on the sub-locality of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 river in the 5th century by the mounted dish excavated in the mound tomb

  • 88

5세기대 낙동강하류역은 금관가야 토기문화와 신라 토기문화의 전환양상을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지역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특정 시점이나 특정 고분군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기 때문에 전체상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고분군에서 가장 출토량이 많은 고배를 대상으로 소지역권을 파악하고, 5세기 全般에 걸친 낙동강하류역의 토기문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각 고분군에서 출토되는 고배를 살펴보면, 5세기 1/4분기에 대형고분군을 중심으로 시작된 형식 차이를 시작으로 2/4분기에 들어서 각 소지역마다 토착토기가 성립되면서 4개의 소지역권으로 분화됨을 알 수 있었다. 3/4분기에는 토착토기가 각 소지역마다 교류되거나 특징적인 속성이 혼합되며, 4/4분기가 되면 다시 동일한 고배형식을 공유하게 된다. 즉 5세기대 금관가야의 몰락 이후, 집단 간의 토기생산정보가 단절되어 각 소지역마다 독특한 토기문화가 성립되었으나, 독자적인 문화는 장기간 지속되지 않고 신라토기문화의 확산과 함께 다시 공통적인 요소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양상은 기존의 연구성과와 달리 낙동강하류역에 일시적으로 중심신라토기문화가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소지역마다 독특한 토기문화를 공유하고 있다가 낙동강 동안지역에서 부터 낙동강 서안지역으로 파급되며, 서안의 일부 고분군의 경우 오랫동안 토착적인 요소와 복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 river in the 5th century is a very significant area that represents the pottery culture of Gum-guan Kaya as well as the introduction and the process of the pottery culture of Silla. However, it is not coincided yet in many parts and generates a lot of controversy in system. It is a problem that existing studies processed focused on one point or a particular mound tomb, and they are interpreted as an overall aspect. In this paper, I try to grasp the sub-locality of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 river by the mounted dish which is general excavated in the mound tomb. In the 5th century, there are three native mounted dishes by a form and continuity and are three sub-local parts at least through distribution. It is defined that there are four sub-local parts in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 river in the 5th century because there is also group of tomb that borders rivershore of the Nakdong river and excavated various type of pottery. This sub-locality is identified by the distribution of introduced potteries and the compromised pottery as well. The pottery culture of Silla is not spread into the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 river temporarily but adopted only elements, and extended from the east side of the Nakdong river to the west side. It is also maintained in a complex aspect with native elements for a long time in partial group of tomb of the west side.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와 연구방법

Ⅲ. 형식분류와 편년

Ⅳ. 분포양상을 통한 소지역권 설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