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高麗墳墓 출토 銅鏡 연구

A Study on Copper Mirrors Excavated from the Goryeo Tomb

  • 157

鏡은 神異的측면과 實用的측면의 두 가지 기능이 있었으나, 점차 실용성이 강조되었다. 특히高麗에 들어와서는 鏡의 사용은 실용성이 높은 일면을 보인다. 본고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은銅鏡이 반출되는 墳墓에서 鏡과 공반되는 器物은 小形器皿과 實用器皿으로, 실생활에서 飮食器로 사용되는 器物이다. 더욱이 목제 빗과 함께 鏡이 출토되기도 하고, 鏡鈕에 실이 꿰어진 실생활의 흔적이 찾아지고 있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墳墓出土 銅鏡을 분석하여 본 결과 다양한 제작배경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고려분묘 출토銅鏡이 당시 中國과의 교류관계에 영향을 받으며 변화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期는 고려건국으로부터 11세기 중기까지의 시기로 지방의 분묘에서 中國系 鏡이 확인되지 않는반면, 개성부근에서 遼鏡의 문양과 비슷한 鏡이 수습되고 있어 고려의 중앙과 지방사회의 문화수용에 차등이 있었던 것이 확인된다. 2期는 11세기 후기부터 12세기까지로 지방의 고려분묘에서 中國系 鏡이 다수 확인되어, 당시고려의 지방사회에서 중국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새롭게 재구성한 일면이 확인된다. 3期는 13세기 전기부터 14세기 전기까지의 기간으로 지방분묘에서 中國鏡의 출토는 확인되지않지만, 高麗의 雙魚文鏡이 中國의 무역선인 신안선에서 확인되고 있어, 당시 대륙과의 활발한교역이 이루어진 것을 짐작하게 한다. 4期는 14세기 중기부터 조선건국까지의 시기로 素文鏡과 漢鏡을 모방한 倣製鏡이 분묘에서확인되고 있어 실용성을 강조한 일면이 엿보인다.

Since the Bronze Age, mirrors have had two functions, including a mysterious aspect and a practical aspect, and their practicality has been gradually emphasized. In particular, beginning in Goryeo, the use of mirrors was highly practical. Specifically,articles excavated together with mirrors from the tomb in which a copper mirror that was subjected to an analysis for this paper was excavated were small articles and practical articles, which were actually used as tableware in ordinary life. All the more,traces of such use in actual life is evidenced by the excavation of mirrors together with a wooden comb, and threaded mirror handles, back up such a fa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71 pieces of copper mirror excavated from the tomb,their appearances were classified into a round shape, a flowery shape, a tomb shape, a s u n f lowe r s h ap e(규화형), a n obl iq ue s h ap e(방형), a cub ic-e d g e s h ap e(우입방형), a hanging shape(현형), and a handle shape. Meanwhile, their patterns were confirmed to have gilsangmun, yongmun, ssangeomun, seogeummun, chohwamun, dong jamun,myeongmun, and somun according to their forms. Also, the copper mirror excavated from the tomb were as follows: first, Goryeo mirrors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of Goryeo, second,mirrors manufactured in Goryeo under the influence of Chinese mirrors, third, Goryeo mirrors manufactured by using the drawing (**도상) of Chinese mirrors, and fourth,mirrors imported from China. This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 of the various manufacturing backgrounds of mirror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pper mirror excavated from the Goryeo tomb chan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changing relationship with China, back then.

Ⅰ. 머리말

Ⅱ. 銅鏡의 출토현황과 유형분류

Ⅲ. 분묘출토 銅鏡의 성격과 변천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