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신석기시대 남강유역 식물자원 이용에 대한 고찰

Plant Use in the Nam River Valley during the Neolithic Period

  • 122

본 연구는 남강유역의 진주 대평리 어은 1지구 유적, 진주 상촌리B 유적, 진주 평거 3-1지구유적에서 확인된 식물유체 분석을 토대로 신석기시대 남강유역의 생업경제상을 고찰한 것이다. 3개 유적에서 현재까지 확인된 식물유체는 종자, 구근, 견과류를 포함하여 약 21종이다. 식물유체중 조와 기장은 3개 유적 모두에서 확인되었으며, 일부 확인된 밀과 보리는 후대 유구 교란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확인된 것은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에서 다량의콩속(Glycine sp.) 종자와 팥(Vigna angluari )으로 추정되는 두류가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콩속종자는 작물화된 청동기시대의 콩(Glycine max )에 비해 그 크기가 작으나 팥은 거의 비슷한 크기로 주목된다. 하지만 작물화의 여부를 단순히 종자의 크기만으로 판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신석기시대의 콩과 팥이 완전히 작물화되었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일본 동경·구주 일대의 죠몽시대 중기의 식물유체 자료와 더불어 평거 3-1지구 유적의 식물유체 자료는 일본과 한반도에 자생하는 야생콩(Glycine soja )이 최소한 기원전 3천년대 말 또는 2천년대 후반기부터 이용되기 시작하였고, 이때부터 작물화도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콩과 팥의 작물화가 어느 한정된 지역에서 기원한 것이 아니라, 한반도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신석기시대 중기후반(또는 후기 전반)에 남강유역의 조 , 기장의 화본과 식물과 콩과 식물의 재배가 성행하였음을 입증하였으며, 또한 탐색적 통계분석법(exploratory statistics)을 적용하여 유구 간 식물유체 분포의 근사성을 파악하고 식물자원의 처리 및 폐기과정에서 보이는 문화적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Through archaeobotanical analysis on the three Neolithic sites in the Nam River basin,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Neolithic economy in the region,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ultivation of plant resource. Flotation samples from the Oun 1,Sangchon B and Pyeonggeo-dong 3-1 sites revealed at least 21 species of seeds, fruits,nuts, and tuber fragments. All three sites share two taxa of domesticates, foxtail millet and broomcorn millet. One of the significance of plant data from the Nam River is presence of two edible legumes of genera Glycine and Vigna. The AMS dates on millet and legumes confirm their association to the Late Neolithic period, dating to 3,050 to 2,300 cal. BC. Th Specimens of Glycine found at Oun 1 and Pyeonggo-dong are smaller than domesticated soybean (G. max) from the Mumun sites in Oun 1 and Daun-dong. However, a sheer quantity and prevalence of legumes indicate soybean at the Neolithic Nam R ive r s it e s wa s on e o f t h e imp o r t a nt e c onomic p l a nt s, r e g a r d le s s t o it s domestication status. On the other hand, Vigna beans at Pyeonggeo-dong resemble domesticated azuki bean (Vigna angularis) at the Daun-dong in both shapes and sizes. Unlike millet and rice, recent genetic studies indicate soybean and azuki were probably domesticated in multiple occasions. Plant data in the Nam River valley, along with a recent data from Middle Jomon sites in Tokyo and Kyushu supports the multi-origins of these two legumes. Overall, as the Nam River data indicates, dry farming of domesticated millets and economically important legumes contributed to the Neolithic subsistence more significantly than it has been proposed previously.

Ⅰ. 머리말

Ⅱ. 남강유역 신석기시대 유적

Ⅲ. 남강유역 신석기시대 식물자원의 이용성

Ⅳ. 고찰 및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