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南韓地域 出土 가지무늬토기에 대한 基礎的 硏究

A study on the Painted Pottery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 88

남한지역 청동기시대의 가지무늬토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자료 집성, 분류를 통한 편년안을 제시하였다. 그 후 가지무늬토기의 출토현황·형식분류와 편년, 부장풍습의 특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반유물을 검토한 결과 가지무늬토기의 형태변화는 동체부 형태는 球形→ 横長球形→ 橢圓形으로,동체부 최대경의 위치는 중위 → 중하위 → 하위로, 즉 Ⅰ→Ⅱ→Ⅲ식으로 변화해 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Ⅳ식은 전남지역에서만 보이는 자료이며, 공반된 석촉을 보면 후기에 속하는 것이다. Ⅴ식은대구, 마산, 김해 등에서 많이 보이는 자료들이며, 이것도 후기에 속하는 자료이다. 즉 Ⅳ·Ⅴ식은 후기에 보이는 지역차를 나타낸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지무늬토기에 대한 기초적인 작업과 부장풍습에 대해 검토한 결과를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 가지무늬토기는 청동기시대에 한반도 남부 특히 전남 남해안과 서부경남을 중심으로 지역적으로 매우 한정되어 청동기시대 전기 후엽에 나타난다. 먼저 서부경남의 석관을 매장주체부로 한 무덤을 중심으로 출현·전개·쇠퇴해 갔다. 부장풍습에서는 2점 세트로 부장되었다. 그 후 다른 묘제나 주거지에서도 출토되었다. 후기가 되면 전남 남해안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여기서는 모두 지석묘의 부장품으로서 1점만 부장된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차이는 지석묘의 기본적 부장 패턴인 1점의 磨製石劍, 복수의 磨製石鏃, 1점의 적색마연토기라는 세트 관계 속에 서부경남의 가지무늬토기문화와 접촉하면서 부장용 토기로서채용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남한지역에서 가지무늬토기가 출현했을 때 기원지로서 추정되는 중국 요동지역 출토품과 비교할 때 이미 독차적인 형태적 변화·변용을 일으켰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다만 부장풍습에서는 2점세트 부장이 固守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점 세트 부장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지무늬토기 1점혹은 가지무늬토기 1점과 적색마연토기나 무문토기와 세트로 부장하게 되는 등 변화가 보인다. 그러한 변화가 보이기 시작한 것은 청동기시대 후기부터이다.

In this paper, I did research on the Painted Pottery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in the Bronze Age. I examined on the excavated aspect, typology, chronology and burial custom. A body part changes from a globular shape to a oval shape, and a maximum diameter of a body part goes down from a middle part to a low part in the painted pottery. In other words, it changes from theⅠtype to the Ⅲ type via the Ⅱ type. The Ⅳ type is only shown in the in Jeonnam Region and belongs to the latter part. The Ⅴ type is widely shown in Daegu, Masan and Kimhae and belongs to the latter part as well. In other words, both of them shows regional differences in the latter part. Putting the basic research on the painted pottery and the examine result of burial custom together is as follow;① It i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especially on the southern coast of Jeonnam Region and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centrally. It shows very limited distribution. It appeared as grave goods mainly, and developed and decayed. ② It was buried in a set of two as grave goods in a grave of stone coffin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at first. Then, it is excavated in the other type of grave or in a dwelling as well. ③ After emerging in the western Gyeongnam Region at first, it is found on the southern coast of Jeonnam Region in the latter part. It is a feature that only one pottery is burried as grave goods of a dolmen. It was blended with a red burnished jar approaching to the painted pottery culture of the southern coast of Jeonnam Region in the common burial pattern of a Dolmen - one polished stone dagger, plural stone arrow-heads and one red burnished jar -. As a result, it was chosen as a po ttery to bury. ④ When it emerge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t first, it was already changed in shape independently. However, the burial custom was held that one set of two potteries was buried. Then, it changed with time as well. Only one painted pottery was buried or it was buried in a set of one painted pottery with a red burnished jar or a plain coarse pottery. This change begun from the latter part of the Bronze Age. ⑤ The origin of the painted pottery excavate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can be found in the Liaodong Region. There is a problem in time difference between two regions. However,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Liaodong Region directly in a point of distributed aspect.

Ⅰ. 머리말

Ⅱ. 硏究史

Ⅲ. 가지무늬토기 出土 現況

Ⅳ. 가지무늬토기의 分類와 編年

Ⅴ. 南韓地域 가지무늬토기의 最古型式과 起源에 관한 問題

Ⅵ. 副葬行爲·風習으로 본 가지무늬토기의 特徵

Ⅶ.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