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嶺南地域古代幼兒墓를 通한 社會的位階化

Social Hierarchisation on Ancient Infant Tombs in Yeungnam Area

  • 35

유아묘란 유아를 주피장자로 하는 묘제로 유아의 사망률이 높았던 과거의 매장풍습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그간의 연구성과에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유아묘가 주목받지 못해왔지만 최근 많은 자료의 증가와 그에 따른 분석이 이루어지면서 과거 유아가 가지는 사회적 지위에 관한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유아’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과거 유아에 대한 매장방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살펴보고, 아울러 유아가 가지는 사회적 지위가 어떠했는지 추론하는 것을 본고의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각 시기별로 단계를 구분하여 유아묘의 사례를 살피고, 유물의 부장양상을 살폈는데, 그 결과 Ⅰ단계에서부터 유물이 부장되는 사례가 확인되어 유아묘간에 조금씩의 지위 차이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Ⅳ단계의 유아묘에는 고총급에 해당하는 사례가 있어 주목되는데, 이는 이 시기 경주를 비롯한 신라권역에서귀속지위가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나타냄과 동시에 사회적 양상이 복합적 계층사회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고령 지산동유적에서 확인된 유아묘는 고총급에 해당하는 자료는 아니더라도 성인묘보다 풍부한 유물이 부장되었다는 점에서 귀속지위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 이렇듯 비신라권에서 확인되는 귀속지위의 존재는 지역에 상관없이 5세기 이후부터 권력이나 지위의 세습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Infant Tombs is a tomb with babies as main buried subject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which tells of the burial customs in the past when death rates for babies were high.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due to lack of data but with a recent huge increase in data and the following analysis attention on the social status babies had in the past is also increasing. Thus as a member of our society, having ‘babies’ as a research subject and observing how burial methods for babies evolved throughout the past as well as deducting their social status would be the purpose of this paper. Patterns of change were shown in stages especially in pot tomb reviewed in time periods. In level Ⅰ,Coffin Tombs is another Infant Tombs apart from pot tomb, reviewed after being assumed as a Infant Tombs when it showed baby bones at the site but no other specialties were found form the excavated relics. There is a case of high level grave in Level IV Infant Tombs which gained a lot of attention. This shows that inheriting status in Kyungju and the rest of Shilla was common at this time around and how the social feature reached the stage of a complex, stratified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Infant Tombs found in Goryeong Jisandong site, a non-Shilla region, was not a case of a high level grave but for the fact that ample amount of relics-more than the amount buried in an adult’s grave- were buried proves the existence of inherited status. The presence of inherited status in a non-Shilla region proves how power and status were inherited commonly after the 5th century, regardless of the region.

Ⅰ. 머리말

Ⅱ. 유아묘의 검토

Ⅲ. 단계의 설정과 유아묘의 변화양상

Ⅳ. 유아묘의 사회적 지위 검토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