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청천강 이남지역 분묘의 출현에 대하여

The Emergence of Grave in south of the Ch ongch’ on River

  • 45

무문토기시대 분묘의 기원ㆍ출현에 대해 여러 說이 있지만 아직 定說은 없다. 이 글은 분묘의 형식분류를통한 검토와는 다른 각도에서 지역별 분묘의 특징과 함께 부장품 조합과 매장습속에 주목하였다. 남한의 전기분묘는 후기처럼 群集하지 않고 종류별 지역 편중 없이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북한 전기의 석관묘는 대부분單板石式이며 바닥에 대형 판석과 자갈을 이중으로 설치한 것은 동북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또 단독 축조와 군집이 모두 확인되어 남한과도 다른 양상이다. 그리고 전기 후반과 상당부분 병행하는西周~春秋早期의 중국 동북지역 사례로는 요서의 석곽묘, 요동반도의 적석묘, 요동의 지석묘, 요령~길림의석관묘 등이 있는데, 한반도와 대비할 수 있는 것은 지석묘와 석관묘이다. 요동의 지석묘 가운데 쌍타자Ⅲ기~상마석상층기의 小石棚은 군집하며, 불탄 인골도 출토되었다. 봉성 동산 대석개묘에서도 火葬人骨은 일반적이지만, 묘실 구조가 다양하며 劍과 鏃은 부장되지 않는다. 요동~길림지역의 석관묘는 부장품은 말할 것도 없고 벽면을 축조하는 방식도 한반도에 비해 다양하다. 분묘의 출현에 중국 동북지역의 영향이 중시되어 왔지만, 구조ㆍ축조방식ㆍ배치 양상 등에서 공통점보다는차이점이 더 크게 표출된다. 그러한 원인으로는 무문토기사회가 요동지역으로부터 특정 석관묘를 채용했다기보다는 분묘를 축조하는 습속 혹은 문화 자체를 수용하여 지역에 맞게 적용시켰기 때문일 것이다. 중국 동북지역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 요령식동검의 부장은 공통되지만, 부장품 조합상은 요서ㆍ요동ㆍ길림ㆍ한반도가 각기 다르다. 중원계 청동예기 등 막대한 양의 부장품을 자랑하는 요서지역 하가점상층문화와의 부장품 차이는 말할 것도 없고, 요동지역과 서단산문화 석관묘의 부장품 조합에도, 요동지역 내에서도 시기와 지역에따른 차이가 있다. 그러한 반면, 劍ㆍ鏃ㆍ土器를 위주로 한 부장품 조합은 청천강 이남지역 전역에 공통성을보인다. 청천강유역은 전형 미송리형토기의 南限界이며, 동북아시아의 지석묘는 청천강유역부터 밀집 분포한다. 일정 지역에서의 동일한 부장품 조합상은 부장습속, 나아가 분묘에 대한 관념적인 측면의 공통성을 뜻할것이다. 최근 화성 동화리 토광묘와 광주 역동 석관묘에서 불 탄 인골과 목탄 등이 확인되었는데, 이것이 요동지역에 다수 보이는 火葬의 葬法과 무관하지 않다면 분묘 축조와 부장 및 매장습속에 있어 요동~북한~남한전체에 흐르는 공통의 매장 관념을 시사하기도 할 것이다. 그러한 광역적인 공통성 속에서 청천강 이남지역은분묘 축조와 매장에 대한 습속을 공유한 하나의 지역권으로 파악할 수 있다.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origin and appearance of graves of Mumun Period, but an established theories were not existed. In this study, I noticed characteristics of graves and customs of burial by regional groups. The graves of the Early Mumun Period in South Korea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without uneven distribution. In North Korea, both isolation and form pairs were confirmed. These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the stone coffin of the Early Mumun Period. And paralleled the latter part of the existing Early Mumun Period, graves of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re stone coffin of western region of Liao River, stacked stone tomb(積石墓) of Liaodong Peninsula, dolmens of Liaodong region, stone coffin of liaoning~Jilin. Among them dolmens and stone coffin can be compared with the Korean Peninsula. Characteristics of dolmens of Liaodong region are form pairs, cremation bones, various grave goods and structure. Many scholars have emphasized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bout emergence of graves in the Korean Peninsula.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structure and grave goods. However grave goods composition consisted of daggers, arrowheads, potteries are common to south of the Ch’ongch’on River. The Ch’ongch’on River basin is southern limit of Misongri Type Pottery, and dolmens of Northeast Asia were densely distributed in south of the Ch’ongch’on River. The same grave goods in a fixed region means manners and customs of burial and about graves commonality of ideological aspects. Accordingly, we can identify that south of the Ch’ongch’on River is a specific area having the same graves construction and manners and customs of burial.

Ⅰ. 머리말

Ⅱ. 분묘의 기원에 관한 연구 현황

Ⅲ. 무문토기시대 전기의 분묘

Ⅳ. 요령~길림지역 西周~春秋早期의 분묘

Ⅴ. 청천강 이남지역 분묘의 출현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