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古新羅高句麗系蓮花文수막새 硏究

AStudy on Goguryeo style roof-tiles with lotus design in Old Silla

  • 67

지금까지 신라 고식수막새는 백제계, 고구려계, 신라계로 나누어 그 양식의 기원을 찾아왔다. 고구려계 연화문수막새는고구려의 옛 수도인 집안ㆍ평양 출토 연화문수막새와 문양요소가 유사한 점이 인정되어 고구려 연화문수막새의 영향을받았으며, 이는 고구려 제와술이 신라로 전해진 것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필자의 분석결과 고신라 고구려계 연화문수막새는 문양면에서 분명 고구려 연화문수막새와 비슷한 모티브를 가지지만, 제작기법면에서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제작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문양적 측면에서 고신라 고구려계 연화문수막새와 고구려 연화문수막새를 비교한다면 연판의 형태와 와당면의 구성에 있어서 고구려 전 시기에 걸쳐 유행한 것으로 보이는 가장 특징적 문양요소인 구획선과 주위에 원권이 돌아가는 반구형의 자방이 고신라 고구려계 연화문수막새에서는확인되지 않고 자방에 배열되는 연자의 유무에 있어서도 차이점을 보이지만 끝이 뾰족한 연판형태, 구획선이 없는 수막새의 와당면과 일부 유사한 점을 들어 그 관계를 전혀 무관하다고 설명할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일부 문양요소에서 차이를보이는 것은 신라화되면서 변형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해 제작기법의 측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는데 고신라 고구려계 연화문수막새는 와당의 주연 상단부를 전체 또는 일부 잘라낸 후 수키와를 접합하고, 고구려 연화문수막새는대칼이나 다치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와당 뒷면이나 수키와 선단부에 상처를 내어 와당과 수키와를 접합한다. 고구려연화문수막새의 접합기법은 고신라 고구려계 연화문수막새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종합하면 제와술의 이동에 있어서 가장 주목해야할 점은 제작기술이며, 관찰 결과 기술적인 상호관계가 분명하지 않다. 다만 문양요소가 동일한 점이 있으므로 고구려와 신라의 교류의 맥락에서 영향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파악되며 기와를 제작하는 주체는 신라 재지의 와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Shilla’s old-styled roof-tiles are categorized as Baekje style, Goguryeo style and Shilla style for the origin of roof-tiles. It is a general viewpoint that the lotus-flower roof-tiles of Goguryeo Style was influenced by Goguryeo’s lotus-flower roof-tiles, considering that they have the similar design to those excavated in Jian, the capital of Goguryeo and Pyongyang and that the technique of making roof-tiles passed down to Shilla. The lotus-flower roof-tiles of Goguryeo style have the similar motif in their design and pattern but its manufacturing technique is different from that of Goguryeo, which requires more meticulous exploration. Comparing the design and pattern of the lotus-flower roof-tiles of Goguryeo style with those of Goguryeo, we can find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factors in their shapes but we can conclude that those of Goguryeo style applied part of the motif from those of Goguryeo, for we can not entirely ignore their relation in the composition of wadang’s surface and the shape of lotus-flower plate.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its modification can’t be excluded, whereas there is a different aspect in manufacturing technique. In case of lotus-flower roof-tiles of Goguryeo style, entire or part of the wadang juyon’s upper part are cut and male-rooftile is attached to it. And in case of lotus-flower eaves-tiles of Goguryeo, the back of wadang or the fore-end of male-rooftile gets nicked with a bamboo-knife or a serrated-tool and then the wadang and the male rooftile are joined. The joining technique of lotus-flower roof-tiles of Goguryeo style has not been found on the lotus-flower roof-tiles of Goguryeo. To find the way of rooftile’s spreading,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s to be paid the most attention to, but the influential relation is not confirmed, which makes us to conclude that the lotus-flower roofs-tiles of Goguryeo style in the ancient Shilla era applied part of design while we can also assume that the manufacturing subject of rooftiles is Shilla’s local.

Ⅰ. 선행연구 검토와 문제제기

Ⅱ. 고신라 고구려계 연화문수막새 자료분석

Ⅲ. 고구려 연화문수막새와의 비교검토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