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동북아시아 雙鳥形 안테나식검의 성격과 의미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the Antenna-style Daggers of Northeast Asia

  • 27

본고는 남만주, 한반도, 북부 규슈 등 동북아시아에서 발견되는 쌍조형 안테나식검의 지리적 분포 현황과 형식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편년을 시도하였으며, 이들 검이 남만주, 한반도, 규슈에 나타나게 된 배경, 쌍조형 안테나식검의 성격과 의미등을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에서는 검신, 검파, 검파두식이 갖는 속성을 기준으로 하여 雙鳥形안테나식검을 Ⅰ형, Ⅱ형, Ⅲ형으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세부 속성에 따라 세분하였다. 그리고 앞의 I형과 Ⅱ형이 주로 남만주에 분포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를‘남만주계’쌍조형 안테나식검으로, Ⅲ형이 영남지구를 중심으로 제작, 유통되었다는 점에서 이를‘영남계’쌍조형 안테나식검으로 명명하였다. 이들 각 형식은 지역과 시기를 달리하며 제작, 유통되었는데, 기원전 5세기경 처음 吉長地區에 쌍조형 안테나식검이 등장하였고, 기원전 3세기 이후에는 형식상의 변화를 보이면서 遼北地區, 평양지구, 스시마-가라쯔지구로 확산되었다. 한반도에서는 평양지구에 처음 출현하였고, 다시 동남부로 이동하여 영남지구를 최종 정착지로 해서 소위 영남계 쌍조형 안테나식검으로 발전하였다. 여기에는 주민의 이동 (혹은 이주)과 교역이라는 기제가 모두 작용하였다. 동북아시아의 쌍조형 안테나식검은 외부로부터 교역되었다기 보다는 북방청동기문화의 영향을 받은 지역집단이 토착의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 문화를 결합시켜 재창조해낸 것으로 파악하였다. 吉林蛟河洋犁地와 평양 토성동 486호묘 출토품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새로운 발명품은 남만주 지역에서는 부여와, 영남지역에서는 변ㆍ진한 소국과 연결되면서 정치, 경제적인 필요에 의해 동맹이나 제휴를 나타내는 상징품 혹은 위세품으로서 분배, 공유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diffusion for the bird-pair-shaped antenna-style daggers and swords in southern Manchuria,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rn Kyushu,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the daggers and swords, classifying them, and establishing a chronology. The authors have classified the daggers into three types-Form I, Form II, and Form III-and, based on three criteria,divided each of these into sub-classification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blade, the handle, and the pommel. We refer to Form I and Form II as the “southern Manchurian type of bird-pair-shaped antenna-style daggers and swords,”which are distributed primarily in the Chinese provinces of Liaoning and Jilin. We refer to Form III as the “Yongnam type of bird-pair-shaped antenna-style daggers and swords,”which are distributed and manufactured in the Yongnam region centering on Taegu and Kyongsan. Each form was produced and used in different time periods and in different areas, emerging first in the Jilin-Changcun (吉長地區) region of central Jilin in approximately the fifth century BC, and then, after the third century BC, expanding into the Northern Liao (遼北地區) region, the Pyongyang region, and as far as Tsushima and northern Kyushu (對馬島-唐津地區). The dagger appeared in the Korean peninsula first in the Pyongyang (平壤地區) region, from which it expanded further to the southeast until it developed into the Yongnam type. It is quite possible that the bird-pair-shaped antenna-style daggers was brought by immigrants from Pyongyang to the Yongnam (嶺南地區) region. The bird-pair-shaped antenna-style dagger of northeast Asia is unlikely to have been a trade item imported from outside of the region, but is more likely a local development in which the indigenous cultures that manufactured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or slender bronze daggers received the influence of bronze cultures of northern Asia. This view is well supported by the daggers found at Yanglidi in Jiaohe County of Jilin and at tomb 486 at Tosong-dong in Pyongyang. This new type of dagger possibly represented a symbol or prestige goods of political or economic alliance within the Puyo polity of southern Manchuria or among the statelets of Pyonhan and Chinhan in the Yongnam region. The bird-pair-shaped antenna-style dagger eventually flourished in the Yongnam region, where a local style developed. These daggers diffused in turn to Tsushima in the mid-first century BC by immigration and trade.

Ⅰ. 머리말

Ⅱ. 발견 경위 및 연구사

Ⅲ. 형식과 지리적 분포

Ⅳ. 쌍조형 검파두식의 출현과 편년

Ⅴ. 쌍조형 안테나식검의 성격과 의미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