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반도 출토 슴베찌르개 연구

Astudy on the stemmed points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n Peninsula

  • 180

현재까지 슴베찌르개에 대한 연구는 교류와 전파, 지역 간 비교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정작 석기 자체의 연구는 미진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석기에 중점을 두고 형태분석을 통한 의미 도출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속성분석ㆍ제작기법ㆍ공반유물ㆍ출토유적ㆍ유적 내 석기 집중부 등을 검토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먼저 속성분석에서는 슴베찌르개를 소재박편ㆍ평면형태ㆍ단면형태로 나누어 각각의 속성을 검토하였다. 그 후 절대연대ㆍ공반유물ㆍ층위에 입각하여 유적을 시간 순으로 배열하고, 이에 따른 슴베찌르개 변화 양상을 앞 장의 속성들을 위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호평동 유적, 용방 유적을 기점으로 3단계로 구분되었다. 각 단계는 석재, 소재박편, 크기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재박편이 일반박편에서 돌날로, 돌날에서 좀돌날로 교체되는 시기와 돌날, 좀돌날 기술의 등장시기 사이에 공백기가 있었다. 이 후 앞장의 분석을 토대로 슴베찌르개의 제작기술과 출토양상을 검토하여 슴베찌르개의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Ⅰ단계는 출현기로 일반적인 슴베찌르개 형태와는 달리 볼록한 단면, 입자가 굵은 석재 등 양면이 가공된 포인트형 석기들과 비슷한 형태를 지녔으나 복수의 문화층에서 슴베찌르개가 확인되고 본 단계부터 사용 및 제작의 연속성이 확인된다. Ⅱ단계는 본격적인 돌날기술과 슴베찌르개 제작의 융합과정으로서 대량 출토되는 경우가 많고 그 사용도 활발한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길이 약 5~8cm의 전형적인 슴베찌르개가 사용된다. Ⅲ단계는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지만 단선적인 쇠퇴기로 볼 수는 없다. 서로 다른 석기 집중부, 복수의 층에서 슴베찌르개가 확인되기도 하며, 형태는 Ⅱ단계와 비슷하나 다만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점은 좀돌날의 사용과 연관될 것이다. 이후 수양개 및 삼리유적의 흑요석제 슴베찌르개를 기점으로 다른 기종으로 대체된다.

This paper is to analyze various components of every stemmed point in Korean Peninsula. Stemmed points, the most signal artifacts among Korean Upper Paleolithic assemblages, are considered as the artifacts which have relatively unquestionable authenticity compared to other artifacts due to the distinct stem on the bottom and the triangular head of the tip. They are mainly distributed from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to the western Japan. Especially, the stemmed points are closely tied in with the feature of the blade in the same period. With the development of blade-technology?certain blank, they appear to be typical in terms of the shape. This study aims at analysis of variation of the subject by observing the exterior form of every stemmed point excavated in Korean Peninsula. This paper, started with arranging of diverse terms, includes the transition phase on the basis of analysis of form, crafting techniques, sites, and so on. When it comes to the transition phase, the stemmed poin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phases. The phaseⅠis identified the period of the advent of stemmed points. They consist of coarse particles such as quartz, bulging sections, being irregularly shaped. The phase Ⅱ is the full-fledged process where assimilation between blade-technology and stemmed pointmanufacture occurs. The phase Ⅲ represents the decline of the artifacts, but it is hard to regard it as the period of complete extinction. They are shown to be gradually replaced by other points: the obsidian points from Suyanggae or Sam-ri.

Ⅰ. 머리말

Ⅱ. 속성 분석

Ⅲ. 변화 양상

Ⅳ. 제작기술 및 출토양상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