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금호강유역 전기 무문토기의 편년

Chronology of the Early Mumun Pottery in Gumho-river basin

  • 50

전기 무문토기에 대한 지역편년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금호강유역은 세밀한 편년이 부족하고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연구된 경향이 강하다. 최근에는 영천, 경산, 청도 등 인근지역의 양호한 자료 또한 증가하여 축적된 자료를 아우를 수 있는 편년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양이 있는 전기 무문토기를 대상으로 속성배열법(安在晧2007)을 이용하여 크게 세 기, 작게는 9단계로 편년하였다. 문양의 복합도는 Ⅰ기 4단계까지 커지다가 Ⅱ기부터 복합도가 다시 낮아진다. 이중구연Ⅰ은 Ⅰ기 1단계에만 잠시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단사선문은‘단사선B→단사선AㆍB→단사선A’의 순으로 유행한다. 공렬문은 Ⅰ기 4단계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단사선문은 Ⅲ기 2단계까지 복합되고, 공렬과 구순각목문만 마지막까지 잔존한다. 금호강유역 전기 무문토기 편년은 공반 유물, 주거지 배치양상 등의 변화를 통해 검증하였다. 일반적인 공반유물의 변화와 필자의 편년에 어긋나지 않았고, 주거지의 배치양상, 특히 장축방향이 필자의 단계와 부합하였다.

The local chronological study on the Early-Mumun pottery has been examined actively. However, the chronology of the Gumho-river basin is not detailed and the study is focused on Daegu region. Anew chronology is necessary include the data of Youngcheon, Gyeongsan and Cheongdo that is excavated recently. In this paper, the patterned pottery of the Early-Mumun pottery is divided into three phases on a large scale, nine phases in detail by ordination. A complex-degree increases to the Ⅰ-4 phase and decreases from the Ⅱ phase. The Yi-1 appears in the Ⅰ-1 phase and disappears soon. The Dansaseon pattern is popular from the DanB to the DanA via the Dan AㆍB. The Gongryeol pattern is complexed from the Ⅰ-4 phase to the last and the Dansaseon pattern is complexed to the Ⅲ-2 phase. The Gongryeol pattern and the Gusoongakmok pattern exists to the last. The chronology of the Early-Mumun pottery the Gumho-river basin is verified by change of the artifacts and the arrangement of dwellings. Chronology of common change of the artifacts matches my chronology and the arrangement of dwellings were consistent with my step.

Ⅰ. 머리말

Ⅱ. 연구현황과 문제제기

Ⅲ. 속성배열법의 원리와 적용

Ⅳ. 금호강유역 전기 무문토기의 문양 편년

Ⅴ. 금호강유역 청동기시대 전기의 변화양상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