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순흥지역 삼국시대 횡구식석실묘의 전개와 정치체의 동향

The development of the stone chamber with horizontal entrance style and the trend of the politie in the Sunhewng area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 65

순흥지역 횡구식석실묘의 편년은‘읍내리 14호분→태장리고분군3-1호분→읍내리 5호분, 태장리고분군2-4호분, 태장리 고분군4-2호분, 태장리 고분→읍내리 6호분, 태장리고분군2-1ㆍ2호분, 태장리고분군3-3ㆍ4호분, 태장리고분군4-1호분’의 순으로 정리된다. 전반적인 변화양상은 횡구식석실묘 도입ㆍ발전기에 해당하는 5세기 후엽~6세기 전엽 이른 시기에는 대~중형의 장방형 횡구식 석실묘(고시상,‘ ㅁ’형시상)가 주로 확인되고, 횡구식 석실묘 정착기에해당하는 6세기 전엽 늦은 시기~6세기중엽에는중~소형의세장방형횡구식석실묘(저시상‘, ㅁ’및‘ㄱ’형시상)가 주로 확인된다. 순흥지역 횡구식석실묘는 규모 및 평면형태, 천장형태, 시상 등이 안동 조탑리고분군 횡구식석실묘와 유사하고, 길이 5m 전후의 장방형 횡구식석실묘가 신라식 위세품과 함께 의성지역에서 순흥지역으로 전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한편, 순흥지역은 470년을 전후하여 다시 신라에 속하게 된 후 신라의 간접지배 하에 놓이게 되었고, 이후 죽령을 중심으로 한 중요 교통로이자 한강유역과 충청ㆍ강원도 지방을 향한 신라 북진의 요충지로서 역할을 담당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6세기 후엽 이후로 비정되는 읍내리 벽화분(579년)과 어숙묘(599년)의 피장자들은 고구려에 출신을 둔 순흥 재지지배층으로 판단되고, 대고구려와 관련된 외교ㆍ군사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 chronology of the stone chamber with horizontal entrance style were ‘Eumnae-ri Tomb No.14→Tomb No.1 at Taejang-ri TumuliⅢ→Eumnae-ri Tomb No.5, Tomb No.4 at Taejang-ri TumuliⅡ, Tomb No.2 at Taejang-ri TumuliⅣ, Taejang-ri Tomb→Eumnae-ri Tomb No.6, Tomb No.1 2 at Taejang-ri TumuliⅡ, Tomb No.3 4 at Taejang-ri TumuliⅢ, Tomb No.1 at Taejang-ri TumuliⅣ’in the Sunheung area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 all-round change process of stone chamber with horizontal entrance style were identified the large~middle-sized stone chamber with horizontal entrance style in the latter part of the fifth century~the former part of the sixth century(introductory and developing period) and the middle~small-sized stone chamber with horizontal entrance style in the middle part of the sixth century(setting period). The chronology of the stone chamber with horizontal entrance style in the Sunheung area were similar to the chronology of the stone chamber with horizontal entrance style in the Uiseong area(Jotap-ri Tumuli, Andong) and embraced the chronology of the stone chamber with horizontal entrance style of common filiation of Silla. Meanwhile, the Sunheung area were on indirect local rule mode of Silla around 470 A.D and a significant traffic route around Jungnyeong. And the buried person in mural tombs were the hierarchy in the Sunheung area, they comes from Goguryeo. And they also were in charge of the diplomatic and military role in connection with Goguryeo.

Ⅰ. 머리말

Ⅱ. 순흥지역 횡구식석실묘 조사의 현황과 성과

Ⅲ. 순흥지역 정치체의 동향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