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慶州地域新羅蓮花文수막새 製作技術의 展開過程

Development process of Manufacturing Technique for Silla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 107

신라연화문수막새는 6세기 초반 수막새 사용의 시작을 기점으로 제작기술은 크게 네 단계로 변화한다. 제작기술은 접합기법과 문양과의 조합관계로 대표할수 있는데 접합기법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된다. A기법은 원통접합법, B기법은 주연접합법, C기법은 수키와가공접합법으로 구분된다. 1단계는 6세기 중반 이전의 A1기법의 단독기로 주요문양은 원형돌기형 수막새로 나타난다. 초기 수막새 제작과정에서는 토기제작에서 사용되었던 재지적 제작방법을 도입하여 수막새의 제작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1단계는 이전 단계의 기법이 완전히 소멸되고 주요접합기법은 B기법으로 이 기법은 이미 낙랑과 백제 등지에서 확인 되었다. 2-2단계의 수막새 제작은 적어도 3가지 이상의 문양적 모티브와 3가지 이상의 제작기술이 유지되었음을 상정할 수 있다. 수막새 제작기술의 도입과 공유가 가장 복잡하게 이루어진 단계로 생각된다. 3단계는 C기법의 주도하에 동일한 기법아래에서 공인 개개인의 방식에 따라 제작기술이 다르게 적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3단계의 문양에서 가장 특징적인 요소는 역시 주연부의 연주문 장식이며 이는 수막새의 제작방식에도 영향을 끼친다. B기법은 수키와부를 수막새의 주연부로 쓰는 방식인데 이 기법으로는 주연부의 연주문 장식을 시문할 수 없다. 수막새의 주연부에 연주문을 장식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와범에 주연부의 문양까지 음각하여 장식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위해서는 필연적으로 C기법이 사용되어야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연부장식과 C기법은 불가분의 관계로 당시 기와수요에 맞추어 수막새 제작기술의 정형화를 가져 왔다. 기와의 대량생산으로 인한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함께 수막새의 문양이 기와 제작기술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통일신라를 기점으로 한 제작기법의 획기적인 변화는 연화문수막새의 문양적 변화와도 그 궤를 함께 하고 있다. 또한 백제수막새의 전개양상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신라공인의 재지적 기술의 주도를 추정 할 수 있다.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Silla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largely had into four stages from the time of using roof-end tiles in the 6th centur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can be represent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bonding technique and design. The bonding techniqu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echnique A is Cylinder-type Bonding, Technique B 周緣Bonding and Technique C Round Tile Process Bonding. The first stage during the period of only A1 Technique before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shows the roofend tiles of round protrusion type. In the early stage, manufacturing of roof-end tiles is found to have begu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n the ground. During Stage 2-1, the technique of previous stage got completely extinct and main bonding technique is Technique B, which has already been found in Nakrang, Baekje and some other areas. It is thought to have been the most complicated stage with introducing, sharing and spreading of roof-end tile manufacturing. The most outstanding feature of the design at Stage 3 is, needless to say, the decoration of pearl rounded motif at Ju-Yeon bu, which had effect on the roof-end tile manufacturing technique, too. Such decoration of Ju-Yeon buand Technique C, both of which are related to each other inseparably, are thought to have led to the standardization of roof-end tile manufactur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increasing demand of tiles at that time.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iques due to mass production of roof-tiles and the design of roof-end tiles must have had effect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 innovative change of manufacturing technique from the era of Unified Silla Kingdom was accompanied by the design change of roof-end tile with lotus design.

Ⅰ.머리말

Ⅱ. 신라 연화문수막새 제작기법의 변화과정

Ⅲ. 신라 연화문수막새 제작기술의 확립과 전개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