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래 삼국시대 한반도 남부지역 제정치체간 및 일본 열도간의 관계를 정치ㆍ군사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이해의 틀은 단선적일 뿐만 아니라 새롭게 증가하는 조사 성과와 자료를 포괄할 수 없다는 비판이 자주 제기되어왔다. 또한 거시적 관점에서의 연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미시적인 분석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상위 레벨에서의 교섭관계도 이 시기의 정치사회상을 이해하는데 어느 정도 기여를 하여왔지만, 선진 기술이라든가 생필품의 획득을 위한 일상적이면서도 인접 지역 집단간의 교역 관계 등 하위 레벨에서의 움직임을 밝히는 것도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기왕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미시적인 집단간의 움직임을 밝히기 위해 6세기 전반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한 가야-신라-전남 동부지역-영산강수계-왜 사이의 관계를 이 지역에서 확인된 외래계 문물의 분포 및 공반관계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남강이 가야와 신라의 주 교역로가 되었고, 남강의 좌ㆍ우안에 위치한 집단들이 교역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5세기 후반부터 소가야계 문물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계통이 다른 문물과의 공반 사례가 많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6세기 전반 소가야 최고 지배층은 신라-가야-전남 동부지역-영산강수계를 연계한 남해안 지역의 국제교역 활동을 주도하고, 고성만 일대는 당시 주요한 국제 교역항이었다. 왜인들도 가야-신라-백제를 무대로 활발한 교역 활동을 전개하였다. 남강 하류와 낙동강 하류의 신라와 가야에 인접한 의령과 창원에는 국제교역을 통해 성장한 집단의 존재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all the political bodies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n peninsula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Japanese islands from political and military perspective. Frame of such understanding frequently received criticism that the frame is not only too simple but also it cannot include survey performance and material which are newly increasing. And necessity for microscopic analysis was raised to overcome limitation of study in macroscopic viewpoint. Negotiation relation in higher rank level also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of then times’ aspects in politics and society at some degre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movement in lower level such as advanced technology or routine and trade relationship between groups of surrounding region for getting daily necessities. To recognize existing problems as shown in above and figure out movement between microscopic groups, relationship between Kaya-Silla-the Eastern area of Jeonnam-Yeongsan river system-Japan centered on the Southern coast area in the first half of the sixth century was examined through analysis on distribution of foreign civilization identified in the region and relationship with foreign civilization excavated at the same spot.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it could be known that Namgang river became main trade route of Kaya and Silla, and groups located by right and left coast of Namgang actively participated in trade activity. And it could be identified that from the second half of the fifth century, civilization of So Kaya origin was widely distributed and there were many examples of coexisting relationship with other civilization in different origin. In the first half of the sixth century, top governing group of So Kaya led international trade activity in the Southern coast area connecting Silla-Kaya-the Eastern area of Jeonnam-Yeongsan river system. The bay of Goseong and its surroundings were major international trade port then. Japanese people developed active trade activity in Kaya-Silla-Baekje. In Uiryeong and Changwon near Silla and Kaya in downstream of Namgang and Nakdong river, existence of group grown through international trade could be identified.
Ⅰ. 서언
Ⅱ. 외래계 문물 사례와 유형
Ⅲ. 외래계 문물 유형 분포와 양상
Ⅳ. 문물의 반입과 반출로 본 지역간 동향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