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경주지역 횡혈식 석실의 등장과 전개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in Gyeongju

  • 163

본 글에서는 경주지역 횡혈식 석실의 등장과 전개에 초점을 두었다. 구조 분석을 통해 경주지역 횡혈식 석실은 총 9가지평면형으로 나누었고, 각 평면형이 동시기 병존하여서 장법을 기준으로 경주 지역 횡혈식 석실의 전개를 4분기로 나누어등장과 전개를 설명하였다. 경주지역에서 횡혈식 석실이 등장한 I기는 6C 중엽~6C 후엽으로, 목관을 사용하였다. 이 시기 경주지역 횡혈식 석실의등장은 계층에 따라 각기 다른 평면형이 수용되었다. 상위 계층에서는 고구려의 영향으로 IC형 평면형의 석실이 사용되었고, 상위계층을 제외한 다른 계층은 고구려의 횡혈계 요소와 횡구식 석곽의 재지계 요소의 결합, 그리고 각 속성을 결합한 석실이 사용되었다. 이후 Ⅱ기는 7C전엽~7C전엽 중반에 해당하며 경주지역으로 유입된 다양한 유형의 석실이 정형성을 찾는 시기로 목관을 사용하는 장법에서 시상을 사용하는 장법으로 변화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두 가지 장법이 모두 사용하기도 한다. Ⅲ기는 7C 중엽 후반~7C 후엽에 해당하며, 앞 시기에서 정착된 기존의 석실에 추가장이 행해지면서새로운 석실의 축조로 특징 지울 수 있으며, 중앙집권화와 삼국통일에 따른 지방 세력의 소멸과 중앙의 강력한 규제로 인해 상위계층에는ⅠC형, 그 외 다른 계층에는 ⅠAㆍⅢA형이 축조된다. Ⅳ기는 8C 전엽 이후에 해당하며, 불교의 확산과 관련하여 매장관념의 변화로 중ㆍ소형석실의 축조는 더욱 줄어들어 경주에서는 아직까지 보고 예를 찾을 수 없지만, 대형석실 중 왕릉급 석실은 여전히 축조가 이루어지는 이원적인 전개양상이 확인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횡혈식 석실의 축조가 줄어드는 것은 화장 후 산골(散骨)과 장골기를 사용하는 것이 횡혈식 석실의 축조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비용에 비해 훨씬 경제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structural attributes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in Gyoengju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appearance and development.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is classified into 9 plain types. While 9 plain types by the location of Hyeonsil and Yeondo have the order of incident or hierarchical meaning, it also used to coexist. Thus, the development of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is divided into 4stages.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appeared in Gyeongju in the mid 6th century which is stage Ⅰ at a time when wood coffin was used for burial method.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began to be introduced into Gyeongju. It was differently accepted by hierarchical level. It looked to be directly introduced from higher ranking Goguryeo. Other classes except for higher ranking class were accepted with the surrounding region as the base in the combination of horizon entrance style stone chamber elements and existing style chamber elements of side-entrance type of stone chamber. In the stageⅡ, various types of stone tombs came to establish a set pattern in which wood coffin burial was transformed to burial method using a pedestal. In this period, two kinds of burial method were found together. In the stage III, the construction of stone chamber was reduced and additional burial to the existing stone chamber was more general. Due to the extinction of local powers and strong regul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long with the centralization an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higher class constructed ⅠC type and others constructed ⅠA and ⅢA types. In particular last stage Ⅳ witnessed the decrease of middle and small size stone chamber due to the additional burial and expansion of Buddhism. Meanwhile the royal tombs among the large stone chambers were still constructed. Such different patterns were witnessed at the same time. This was because the scattering bones after cremation or the use of urn was more economic in terms of labor and cost consumption compared with the construction of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To the contrary, higher class such as royal class with rich physical resources had practiced scattering bones after cremation, the use of urn or the construction of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simultaneously. As time went by, the number of cremation increased and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 disappeared slowly.

Ⅰ. 머리말

Ⅱ. 경주지역 횡혈식 석실 구조 분석

Ⅲ. 경주지역 횡혈식 석실의 분류과 분기

Ⅳ. 경주지역 횡혈식 석실의 등장과 전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