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慶州花谷遺蹟出土기와의 需給과 歷史的意味

The supply/demand and meaning of roof tiles excavated at Hwagok-ri, Gyeongju

  • 74

경주 화곡유적은 5세기 후반부터 9세기까지 토기와 기와를 생산한 신라의 대단위 공방유적이다. 기와는 6세기 전반부터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여기서 생산된 물품들은 주로 왕경내 월성과 안압지 등에 공급되었다. 상대편년에 유리한 수막새는 모두 27점이 출토되었지만 암막새는 단 1점도 출토되지 않았다. 수막새는 제작기법과 문양에 따라 7형식 8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그간 화곡유적은 신라 기와의 기원과 관련해서 주목을 받아 왔다. 조사결과 가장 이른 시기의 고식수막새의 경우 제작기법에서 한성기 백제양식이 인정되므로 기와제작에 백제의 영향이 강하게 미치고 있었음이 감지된다. 한편 이곳에서 출토된 수막새 가운데 동범와 2종이 군위 인각사에서 출토되어 주목된다. 그 가운데 1종은 신라 문무왕 19년(679년)에 제작된것으로 인정되는 소위 중판연화문(화곡 4B형식) 수막새이다. 따라서 이 기와를 통해 인각사의 창건연대를 가늠할 수 있는자료로 주목된다. 중판연화문 수막새는 통일기 신라에 처음 등장하는 새로운 양식의 기와이다. 이 기와는 주로 문무왕의 대규모 토목공사와 관련된 자료로 이해된다. 통일기를 맞아 신라 왕경은 대대적인 개조가 이루어진다. 특히 월성과 안압지의 修築, 사천왕사나 봉성사의 落成등은 중대왕실의 의도적인 왕경개조와 관련이 깊다. 즉 문무왕에 의해 단행된 왕경의 개조에 사천왕사나 봉성사는 서로 대척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들 사원은 향후 성전사원이 된다. 이 사찰들은 왕경의 사방 官道의 입구에 의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런 측면에서 성전사원에서 베풀어진 의례는 국가의례로서 신라의 전국토를 상징하는 것에 다름아니다. 왕경의 개조에 즈음하여 망성리와요지와 인근 화곡유적에서도 적극적으로 기와를 생산하여 권위건축물에 공급되었다. 한편 궁궐이나 중요사찰에만 소비된 기와가 인각사에서도 출토되었다. 이 기와는 주로 왕경내 핵심건물에 공급되었는데,인각사의 창건에 중대왕실과 밀접한 관련성을 짐작할 수 있다. 인각사 창건의 배경에는 사찰이 위치한 지리적 중요성이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 선상에서 거의 동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군위 삼존불의 존재도 염두에 둘 수있다. 즉 이 시기 신라 북부지역에 대한 중대왕실의 적극적인 佛事활동이 감지된다. 화곡유적에서 출토된 기와는 연대 가늠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생산지에서 출토되었다. 지금까지 와요지에서 출토된 기와들의 연대추정은 물천리나 화천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일부 조사되었거나 지표상에 수습된 기와를 토대로 산출된 것이다. 그러므로 생산공간, 제작공간, 폐기공간이 입체적으로 조사된 화곡유적의 의의는 여기서 찾아진다.

The Hwagok-ri site in Gyeongju is the remains of large-scale workshop during Shilla kingdom which operated from late 5th century to 9th century. Mainly earthenware and roof tiles were produced at this workshop and they were supplied to Wolseong palace and Anapji pond in the capital of Shilla kingdom. It is possible to find 8kinds of convex tiles in 7 different types at Hwagok-ri site; while no concave tile was found. The Hwagok-ri site has received attention till now in relation to the origin of Shilla roof tiles. The investigation during this study found that the roof tile manufacturing at Hwagok-ri site received strong influence of Baekje kingdom because Hanseong period Baekje style is acknowledged in the ancient style convex tile found at Hwagok-ri site. It should be also note that 2 kinds of convex tiles found here were also excavated at Ingak-sa temple at Gunwi. One of the two found at Ingak-sa is a convex tile with double-layer lotus flower pattern, which is acknowledged as having been manufactured in A.D. 679, the 19th ruling year of Shilla King Munmu. Accordingly, the roof tile can be also used in guessing the building year of Ingak-sa(麟角寺) Buddhist temple. The Shilla kingdom capital had large-scale reconstruction during the ruling of King Munmu. The completion of Sacheonwang-sa(四天王寺) temple and reconstruction of Wolseong and Anapji are related to the intentional reconstruction of kingdom capital by the middle period royal family of Shilla.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Hwagok-ri roof tile workshop also actively supplied roof tiles to these reconstruction works. Furthe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King Muyeol line in Buddhist rituals can be confirmed in the construction of local temples including the example of Ingak-sa temple at Gunwi,Like this, the roof tiles excavated at Hwagok-ri site enables the guessing of manufacturing year relatively more advantageous than other roof tiles. Till now, the manufacturing year guessing of roof tiles excavated at kiln remains was mainly done by roof tiles collected from ground surface or only a portion of them was guessed for manufacturing year, excluding the roof tiles found at Mulcheon-ri(勿川里) and Hwacheon-ri(花川里). Therefore, the Hwagok-ri site has significance because the production space, manufacturing space and scrapping space of the site have been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Ⅰ. 머리말

Ⅱ. 수막새의 형식분류

Ⅲ. 수급과 조업연대

Ⅳ. 歷史的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