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銅戈의 사용 맥락을 통해 본 성격 추정

The Characteristic Estimation Through Using Context of the Bronze halberd: Focused on Zhongyuan Type Bronze Halberd and Liaoning Type Bronze Halberd, Korean Type Bronze Halberd

  • 157

요령지역의 토착문화에서 확인되는 중원식동과는 중원지역의 것과 유통 과정이나 부장 배경을 달리한다. 세형동검문화단계 요령지역의 토착집단은 중원식동과가 지닌 상징성과 함께 실질적인 기능까지 일부 수용하였는데, 이는 결국 요령식동과를 거쳐 한국식동과의 등장으로 이어진다. 요령식동과와 한국식동과는 주척식의 구조, 대칭적인 형태, 단병식에 가깝거나 자루와는 예각으로 착장되는 방식 등을 고려하면 타격력이 강화되어 중원식동과의 걸어 베는 기능보다 내려 찍는 기능이 더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중원지역과는 다른 청동무기 전통하에 자연지리적, 정치사회적 환경에 적응해 간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중원식동과가 요령지역을 거쳐 한반도로 파급되는 과정에서 형태와 구조가 일변하여 한국식동과로 변형되고 난 후 사용방식이나 기능에도 약간의 변화가 있었지만, 처음에는 청동무기를 사용하고 부장하는 관념에서 커다란 차이점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나중에는 점차 무력적인 측면보다 의례적인 성격이 강화되었는데, 이는 청동무기가 철제무기로 대체되는 단계부터 더욱 다양해진 양상으로 나타난다. 전국연과 고조선의 무력 충돌 이후 등장하였다고 생각되는 한국식의 동과와 동모는 무기로서 기능하였으며, 동과와 동모가 지닌 군사적인 권위 혹은 무력적인 성격은 사회변화에 따라 점차 의기적인 성격으로 변화되었다고 생각된다. 초기철기시대의 동과와 동모가 지닌 상징성은 기본적으로 무기라는 범주에서 이해해야 한다.

There were a few difference for distribution channel and burial context from Zhongyuan type bronze halberd that certified in Zhongyuan area and native culture of Liaoning area. The Liaoning type bronze halberd and the Korean type bronze halberd were designed based on the motifs of the Zhongyuan type bronze halberd. In this process, the construction, form and function of the bronze halberd made a some difference, But this caused by geographic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In the case of the Zhongyuan type bronze halberd and the Korean type bronze halberd, In first,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concepts of make a using or burying that. But at last, the characteristic of Bronze weapoen changed. This changes turned up with still more various context in the stage that bronze weapon had substituted iron weapon.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halberds and the bronze spearheads have been slowly changed from the symbol of military force into ritualistic or ideological meanings.

Ⅰ. 머리말

Ⅱ. 동과의 분포 정황과 기본 구조

Ⅲ. 동과의 형태 변화와 사용 방식

Ⅳ. 동과ㆍ동모의 출토 맥락과 성격 추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