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구지역 청동기시대 석기생산 시스템 연구

Study of production system of Stone Tools Age Daegu

  • 51

대구지역은 자연 지리적으로 지역권을 설정할 수 있으며, 청동기시대 전기에서 후기까지 연속적인 변화상을 파악할 수 있는 양호한 취락유적과 더불어 석기생산과 관련된 다수의 유적이 조사되어 검토대상지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었다. 대구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의 검토를 통해 전기에서 후기의 석기제작 시스템의 변화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취락 내에서 자가소비를 목적으로 석기를 제작하지만 인접한 취락군 중에서 석기출토 및 제작관련 유물이 집중된 상황으로 볼 때 부분적으로 석기유통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석기제작과 관련된 전문취락의 징후는 전기후반에 팔계천 일대의 매천동유적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팔계천 일대에서는 전기의 매천동취락이 발전하여 상류의 동천동취락으로 거점을 이동하면서 석기제작 전문취락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석기제작 전문취락의 석재는 고령의 의봉산 일대에서 애추(崖錐) 형태로 산출되는 혼펠스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관련 유적의 검토로서 제시하였다. 석기의 유통에 관해서는 유절병식석검의 분포범위와 궤를 같이하며, 일단병식석검단계에서 확대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Daegu is able to set the easement naturally geographically. Further, a good settlement ruins can grasp the change image continuous to-late Bronze Age previous period is confirmed, the optimum conditions as consideration Get ruins of several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stone is examined and has.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stoneware production system of late from the previous fiscal year in consideration of settlement of the Bronze Age of Daegu.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o manufacture a stone for the purpose of self-consumption of settlements, circulation of stone has been performed partially in the previous Bronze Age. However, signs of professional settlement related to the Stone fabrication, have been identified in the Palgyecheon Mechondon ruins in the previous fiscal year second half. Since, in the region Palgyecheon, I will have to develop to move the base to Donchon-don village upstream Mechondon settlement of the previous fiscal year to develop, and to specialize in settlement to the Stone production. Stone of specialized settlements, using Hornfels calculated from Uibon mountain of elderly to the Stone production. This situation, I was confirmed through the study of related ruins. Distribution of stone tools, is estimated to be the same as the distribution range of oil off Hilted stone daggers.

Ⅰ. 머리말

Ⅱ. 석기생산에 대한 연구약사

Ⅲ. 석기생산 취락의 설정 및 유형

Ⅳ. 유적의 검토

Ⅴ. 석기생산 전문취락의 성립과 전개

Ⅵ. 석기의 제작과 유통

Ⅶ.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