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 초 영주 소헌왕후 태실의 조성과 구조 복원

Restoration of Structure and Establishment on Queen Soheon’s Taesil of Yeongju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111

조선시대 왕비 중 태실이 조성된 것은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와 세조의 비인 정희왕후, 성종의 계비인 폐비윤씨 뿐이다. 태실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는 학계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으나, 왕비태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여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경북 영주의 소헌왕후 태실은 유물이 가장 많이 남아있기에 사료와 잔존유물을 비교ㆍ검토하여 태주와 조성시기 등을 고찰하고 원래의 구조를 복원해 보았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주 배점리 태봉의 태주는 소헌왕후임을 밝혔다. 그리고 소헌왕후의 태는 민간풍습에 따라 1395년 경기도 양주에 매태되었으나 왕비가 된 후 1438년 길지를찾아 가봉태실을 조성하였음을 밝혔다. 이는 사료뿐만 아니라 태호의 시기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태실은 여러 차례보수가 시도되다가 1666년 와서 보수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에 대해 의궤와 횡죽석을 근거로 들었다. 셋째, 분청자 태호편6점은 2개체의 뚜껑편과 2개체의 호편으로 파악하고 태호는 내ㆍ외호 이중으로 구성되었음을 밝혔다. 또 태호의 제작시기가 15세기 중엽이므로 1395년 매태한 태호를 재사용한 것이 아니라 1438년 가봉하면서 새로 제작한 것으로 보았다. 넷째,태실은 서삼릉 태실 집장지에 조성되지 않았지만, 이왕직에 의해 1928~1934년 사이에 조사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섯째,태실의 지하구조는 방형의 태함으로 태지석도 매납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또 지상구조는 팔각형의 장식석물로 치장하였는데, 전석과 상석이 구비되고 난간대가 설치된 것으로 보았다. 특히 중앙태석은 모두 팔각형이며, 사방석은 1층으로 추정하였으며, 가봉비도 설치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Among the queens of the Joseon Dynasty, Taesil(the facility for burying the embryonic cord) was established only for Queen Soheon of King Sejong, Queen Jeonghui of King Sejo, and deposed Queen Yun of King Seongjong.The study of Taesil has been quite successful in the academic circle, but it is necessary to study Taesil of queens as there are almost no studies on them.Taesil of Queen Soheon in Yeongju was studied as it was the first Taesil built for the queen and has many remaining relics.The historical remains and the relics of Taesil of Queen Soheon are compared and reviewed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Taesil and the relics to restore the structures for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ae(the afterbirth or placanta and umbilical cord) of Queen Soheon was buried in Yangju-si, Gyeonggido in 1395 according to the folk customs and it has been announced that Gabong Taesil(adding certain rites and stone figures for first Taesil) was established in 1438 after she became the queen. This was also the time Taeho(jar for Tae) was produced.Second, it was attempted to repair Taesil several times, but it was not repaired until 1666. Uigwe and Hoengjukseok were examined for this.Third, the six pieces of Taeho in Buncheong Porcelain were classified into two pieces of tops and two pieces of jars to find out that Taeho consisted of inner and outer jars.Considering that Taeho was made in the 15th Century, it was found that Taeho from 1395 was not reused, but new Taeho was made when Taesil was built in 1438.Fourth, Taesil was studied by Iwangjik between 1928 and 1934, but it was not included in the cluster of Taesil in Seosamneung.Fifth,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aesil had a chamber and it is assumed that there used to be Taejiseok here. Also, the on-ground structure included the ornamentation of octagonal stone monuments and it is assumed that there were Jeonseok, Sangseok, and rails. It is also assumed that the central stone was octagonal and Gabongbi Monument had Gwibu(tortoise-shaped pedestal) and Isu(ornamental top in the form of dragon for a monument).

Ⅰ. 머리말

Ⅱ. 영주 소헌왕후 태실의 현황

Ⅲ. 문헌기록과 유물로 본 태실 조성

Ⅳ. 소헌왕후 태실의 구조와 복원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