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고령 지산동고분군의 입지와 분포로 본 특징과 그 의미

Characteristic Features of Goryeong Jisandong Tumuli in Terms of Location and Distribution and Their Implications

  • 445

지산동고분군을 입지와 분포의 측면에서 분석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들을 추출할 수 있다. 첫째, 대략 5세기 초에서 6세기 중엽에 걸친 시기에 축조된 704기라는 대단히 많은 수의 대소 봉토분으로 이루어진 대고분군이다. 둘째, 봉토분 중 중형분(15~10m: 85기)과 소형분(10~7m: 271기, 7m미만: 311기)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셋째, 고령 지역 안에서 탁월한 숫자의 고총고분이 군집한 유일한 지점이다. 넷째, 구릉 위에 같은 시대의 다른 구조물이 전무하고 고분들만 분포하고 있다. 다섯째, 대가야 당시의 궁성을 비롯한 도읍 취락이 있는 동쪽 평지를 둘러싼 구릉에 전면적으로 분포함으로써 고분들이 전체적으로 그 평지가 잘 내려다보이는 입지에 위치한다. 여섯째, 고분들이 대체로 가지 능선별로 낮은 지점에서높은 지점을 향해 동시다발적으로 혹은 군집을 이루며 축조되어 올라갔다. 이 특징들은 첫째~셋째와 넷째~여섯째로 각각 묶어 그 의미를 추론할 수 있다. 전자는 지산동고분군과 아주 유사한 특징을 가진 경주 평지 마립간기 고분군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대체로 영역국가의 단계에 들어선 대가야의 상황을 반영한다. 즉 경주 고분군이 4세기 후반 이후 다원적 위계의 신라 6부 체제를 이끌던 지배층의 무덤이듯이 지산동 고분군은 역시 다원적 구조를 갖고 다양한 위계로 구성되되 소형분이 많은 데서 추정되듯이 집단적 성격이 한층 강했던 대가야 지배층의 무덤이다. 그래서 우리가 외견상 보는 봉토분 지산동고분군은 대가야 왕과 귀족의 무덤들로 규정할 수 있다. 넷째~여섯째 특징은 우선 이 고분군과 그것이 소재한 구릉이라는 경관 전체를 죽은 자들의 배타적 전용 공간이자 신성 공간으로 인식한 데서 비롯된 결과이다. 또 대가야 왕과 귀족의 무덤들이 당시 취락과 일체를 이루듯 인접해서 축조된 이유는 고대 한국의 내세관이 계세사상을 근간으로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가야 지배층이 그곳을 그들의 내세 공간 자체로 인식한 때문이다. 지산동고분군의 소군별 축조 양상 또한 각 군집의 주인공들이 마치 생전에 살았던 현실 공간의 구분 혹은각 집단간 성격 차이를 상징적으로 반영하면서 그들이 실제로 그곳에서 ‘사후 삶’을 산다고 믿고 있었던 데 기인한다고 볼수 있다. 결론적으로 지산동고분군이 자리 잡은 구릉 전체는 바로 그런 죽은 왕과 귀족을 비롯한 지배층의 내세공간이었다.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s and excavations hitherto carried out, the following can be noted a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Goryeong Jisandong Tumuli. First, the burial ground is of a substantial size, containing a very large number of large and small mounded tombs (704 in total). Second, the majority of the tombs are of small (less than 10m in diameter) and medium sized (15~10m in diameter). Third, the Jisandong Tumuli group represents the only concentration of a significant number of tombs within the Goryeong area. Fourth, the area in which the Jisandong Tumuli are distributed does not contain any other type of contemporary structure. Fifth, the Jisandong Tumuli are distributed only along the mountain slopes that encircle the eastern plain upon which the palace and settlements of the Daegaya capital were located. Sixth, the larger of the mounded tombs are situated, in particular, along the central backbone of the main ridge that extends downwards from the summit of Jusan Mountain, as well as upon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ary ridges that branch out from this main ridge. Seventh, tomb construction began to take place along the lower sections of various mountain slopes and gradually spread upwards along the branches of the mountain ridges. The mounded tombs of the Jisandong Tumuli were constructed from around the early fifth century during when Daegaya state was being formed to the mid-sixth century when full-fledged Daegaya state was felled down by Silla. Their distribution can be regarded as a concrete expression of the mental landscape of the Daegaya people who believed that the worlds of the living and the dead were one. In this sense, the entire area which contained the Goryeong Jisandong Tumuli may be understood as the place where the deceased royal personages and aristocrats of Daegaya resided beyond death. In other words, the entire section of Jusan Mountain upon which the Jisandong Tumuli were constructed may be interpreted as the sacred place where kings and aristocrats of Daegaya were laid to rest, as well as being the realm of their afterlife.

Ⅰ. 서언

Ⅱ. 지산동고분군의 개요와 관련 연구

Ⅲ. 지산동고분군의 입지와 분포로 본 특징

Ⅳ. 입지 및 분포상 특징들의 의미

Ⅴ. 후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