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영남지역 목관묘 출토 닻형철기 연구

The study on the anchor-shaped ironwares from wooden coffin tomb in Yeongnam province

  • 76

닻형철기는 현재까지 영남지역의 목관묘에서만 출토되는 유물이다. 1988년 창원 다호리유적에서 처음으로 출토된 닻형철기 이후로 현재까지 10여점이 보고되었고 이와 유사한 형태로 경주 입실리 출토 닻형동기가 있다. 하지만 그 용도에 관해서는 마구의 일종으로 추정할 뿐 아직까지는 관련 연구가 미진하다. 닻형철기의 출토양상은 대부분 2점이 포개져 출토되는 것이 특징이며, 그 사이에 목질이 수착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목재를 중심에 두고 닻형철기를 양면에 고정하여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닻형철기와 유사한 형태의 유물로는 중국 전국시대의 괘강구가 있다. 이 유물은 선행 연구를 통해 사람의 허리에 차고 고삐를 걸어 두 손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고삐걸개로 보고 있다. 닻형철기의 형태적 기원은 중국 동북지역에서 찾을 수 있지만, 점차 영남지역만의 재지화된 특징을 보인다. 가장 이른시기의 유물은 영남지역의 목관묘 출현기부터 확인된다. 형태적으로 보았을 때 괘부의 각과 괘부 선단부의 궐수장식 부착유무에 의해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각 단계는 공반된 유물을 통해 기원전 1세기 전엽에 출현하여 기원전 1세기 후엽을 기점으로 크게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nchor-shaped ironwares are relics which had been founded in wooden coffin tombs in the Young-Nam. However, the usage was just estimate a kind of harnessry, and in-depth researches we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be report on the usages, evoultion and regionality of the anchor-shaped ironwares. The anchor-shaped ironwares have a characteristic which is that two pieces at a time were founded in charged soil or grave soil of wooden coffin tombs. By comparing the shapes and excavated patterns with the example of china, we find out that the usage of the anchor-shaped ironwares was a rein hook to use both hands free by wearing the anchor-shaped ironwares at one’s waist and hooking the reins. The anchor-shaped ironwares i in the Young-Nam province had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 3 steps by the angle of the hooks and whether the bracken decoration in apiculus of the hooks. It appeared early first century B.C. and materially altered in later first century B.C.. Also, it showed regionality on discriminative production methods of the crenate decoration and bracken decoration on the surface of hook.

Ⅰ. 머리말

Ⅱ. 자료 검토

Ⅲ. 제작과 용도

Ⅳ. 편년과 지역별 전개양상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