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경주 남산신성의 축성현황 보고

A Report on Construction Techniques Used for Gyeongju Namsansinseong Fortress

  • 266

경주 남산신성은 신라왕경의 남쪽에 위치하는 남산에 축조된 편축식 석성이다. 해목령을 잇는 주능선이 남북으로 길게 솟아 있으나, 능선상에 성벽이 입지하지 않고 동서 양사면의 골짜기를 넓게 포함하는 포곡식 산성으로 산록에 축성되어 있다. 남산신성의 축조의미는 단순히 외적의 침입에 대비한 피난성으로서 방어적이며 소극적인 의미보다는 새로운 지배체제의 출발을 알리는 적극적인 의지를 내포한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것이며, 아울러 신라 성곽 발달사의 한 단면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라 할 수 있다. 남산신성은 591년의 초축과 679년의 증축기록이 뚜렷한 신라 왕도의 산성이다. 현존하는 성벽이 곳곳에서 확인되고 있으나, 체성의 축조에 사용된 성돌과 축조기법으로 보아 초축시의 성벽은 북서쪽 골짜기 한 곳에서 확인된 것을 제외하면대부분 증축시의 성벽으로 파악하였다. 증축시의 성벽에서는 대부분 장방형 내지 세장방형의 성돌로 바른층쌓기를 유지하면서 일부 구간에서 2열축조기법과 부분적인 보축의 확인으로 증축시기의 축조수법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신라산성의특징적인 보축이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고 있었으나, 최근 필자의 정밀지표조사 결과 부분적으로 기저부에서 확인되고 있어 신라의 전통적인 축성기법이 남산신성에서도 유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초축시의 체성과 증축시의 체성 입지와 규모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정확한 자료가 확인되지 않는 미비점이 있지만, 초축시의 사실을 보여주는 남산신성비가 현재까지 10기 확인되고 있어 차후 발굴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미비점들은 해소되리라 여겨진다.

Gyeongju Namsansinseong is a Pyunchooksik stone fortress built in Namsan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 of Silla’s royal district. Although the main ridge connected to Haemokryeong rises long to the north and the south, the ramparts are not located on the ridge. It is built on the foot as a Pogok style fortress widely embracing the valleys located in both slopes on the east and the west. The meaning of building Namsansinseong is not merely defensive or passive as a fortress for evacuation to cope with foreign invasion but symbolic as it implies aggressive intention to declare a departure of the new ruling system. Furthermore, we can say that it is remain that well shows an aspect of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Silla’s fortresses. Namsansinseong is one of the fortresses of Silla Dynasty as the record clearly shows it was initially built in 591 and then extended in 679. Although the ramparts still remaining are found in many places, according to the fortress stone and construction technique used to build the fortress body, the ramparts found in a valley on the northwest side were built at the initial construction, and most of the rest were built at the extension. The ramparts built at the extension are mostly made of rectangular or slender rectangular fortress stone, and they maintain horizontal accumulation. In some of the sections, 2-row construction technique and partial Bochook are observed, and this supports it as it is the accumulation technique used at the extension. Even though Bochook, one of the crucial features of Silla’s fortresses, has not been reported so far, it was observed from the base partly as a result of this author’s latest precise earth surface investigation; therefore, we can see that Silla’s traditional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 is also found in Namsansinseong. However, there is still limitation that this study was not able to find any accurate data with which we can figure out the fortress body at the initial construction or the location or scale of the fortress body at the extension. Despite this, it is expected that this limitation can be eliminated afterwards if further excavation research is conducted as there have been 10 stone monuments of Namsansinseong fortress found up to now which verify the facts at the initial construction.

Ⅰ. 머리말

Ⅱ. 경주 남산신성과 축성 현황

Ⅲ. 경주 남산신성의 축조수법 검토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