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삼국시대 영남지역 도질토기 생산과 유통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glazed earthenware at the Yeongnam reg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 616

4~5세기대 영남지역의 도질토기 생산과 유통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존 연구 성과를 토대로 고식도질토기 단계와 이대양식 단계로 나누어 생산유적과 토기의 유통양상을 살펴보았다. 고식도질토기 단계에서도 3세기 말부터 4세기 초까지는 낙동강 하구역을 중심으로 한정된 생산유통이 이루어지며, 와질토기공인과 도질토기공인이 별도로 존재하였다. 4세기 전반부터 낙동강 하구역과 함안의 제품과 생산정보가 영남전역으로 유통되면서 각지에서는 도질토기의 생산과 유통이 활발해진다. 그러나 낙동강 하구역과 함안지역을 제외하면 생산유적의 단위가 비교적 적고 생산된 토기도 그 지역에 한정되었던것으로 추정된다.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에는 영남각지에서 유사한 형태의 토기가 생산되면서, 생산정보와 제품이 활발하게 유통되며, 이를 토대로 5세기 중반에는 이대양식토기가 확립된다. 이 시기에는 생산유적은 비교적 토기문화권의 범위가 넓은 신라에서는 초군집형이 등장하고 있고, 가야의 각 지역에서는 군집형과 단독형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소성기술이나 전용 요도구의 형태에서는 각 지역마다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5세기 대까지 신라권역에서는 중앙에서의 생산정보와 제품을 자율적으로 받아들였지만, 6세기 중반 이후 경주를 중심으로 생산과 유통이 완전히 재편된다. 반면 가야권역에서는 대가야, 소가야, 아라가야를 중심으로 각 지역에 제품자체의 유통은 물론 생산정보의 유통으로 인한 모방품,공인집단의 이동에 의한 제품의 유통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유통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t will be distributing older the unglazed earthenware step(고식도질토기), the double type step(이대양식 단계) and examining producting sites, distributional pattern of pottery based on existing research results to figure ou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glazed earthenware in Yeongnam province for fourth, fifth century. It’s progresse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ose it had been limited with the mouth of Nakdong River as the center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the early 4th century in older the unglazed earthenware step. Grey pottery(와질토기), unglazed earthenware craftsman were existed separately.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pottery that it had been evolved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Haman region spread throughout Yeongnam from middle 4th century.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glazed earthenware was worked better in every corner. However, with the exception of the mouth of Nakdong River, Haman region, measure of producting sites were comparatively few. It’s presumed the produced pottery that it would be limited to the region. It’s getting to be divided into Sila and Gaya pottery culture in 5th century, the pottery culture that has localism was established in all parts of the Yeongnam. The producting sites were contrasting two cultures. Sila has relatively wide range of pottery cultures that it’s coming to the ultra grouped type. The grouped type was center at all locations of Gaya.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to the distribution of pottery depending on the location. There was not only distribution of goods itself, but imitation caused by the distribution of production information.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goods etc. by moving craftsman group, it turned out that many different forms in comparison with older the unglazed earthenware step are.

Ⅰ. 서론

Ⅱ. 생산체계와 유통으로의 접근

Ⅲ. 고식도질토기 단계의 생산과 유통

Ⅳ. 이대양식 단계의 생산과 유통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