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 작업을 위해 최근 증가하고 있는 방사성탄소연대 자료를 활용하였다. 중기와 후기구석기시대의 이행기와 더불어 후기구석기시대는 방사성탄소연대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연구는 OxCal 4.2프로그램(IntCal 13보정곡선)을 활용하여 구석기시대 방사성탄소연대 자료를 보정하여 활용했다. 이를 이용해 중기와 후기구석기의 이행기유적과 후기구석기시대에 해당하는 유적에서 확인된 절대연대수치 233개를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우리가 거의 같은 지층에서 확인되었기에 비슷한 시기로 파악해 왔던 아이라-탄자와(AT)화산재, 최상부 토양쇄기(LW)의 형성시기, 그리고 최종빙하극성기(LGM)의 시기가 동일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후기구석기시대에 중요한 지질사건인 LGM의 시작과 끝, AT화산의 폭발과 종료, LW의 형성과 종료가 일어난 시기에는 차이가 있었다. LGM은26500~19000 cal BC, AT화산재는 27000~26000 cal BC, LW는 24000~20000c al BC로 연대를 상정해 볼 수 있었다. 방사성탄소연대의 보정결과를 토대로 유물의 출토층위를 중심으로 LW층과의 위치문제, 슴베찌르개와 세석인의 출토 유무, 흑요석의 존재를 함께 비교하였다. 그 결과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은 크게 세 단계, 세분하면 5단계로 설정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구석기유적처럼 표준층위가 세분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방사성탄소연대는 유적 연대를 결정하는데 있어 그중요성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ronological sequence of the Late Paleolithic in Korea by using recently acquired radiocarbon data. The Late Paleolithic as well as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Middle and Late Paleolithic have a considerable advantage in the application of radiocarbon dating. In this study, with the program of Oxcal 4.2, I dealt with 233 radiocarbon data from Paleolithic sites used by the IntCal 13 radiocarbon calibration curve. Through this work, I ascertained that the periods of the layers of AT ash, LGM(Last Glacial Maximum) and LW(Last soil wedge) that have been considered as the same period thus far, are in fact not the same. In other words, there are time differences between the start and end of LGM, AT volcano, and LW. The dates can be assumed are that LGM was 26,500 to 19,000 cal BC, AT ash 27,000 to 26,000 cal BC, and LW 24,000 to 20,000 cal BC. In addition I compared aspects of stratigraphic layers of each site analyzing the location problem of the LW layer along with the presence/absence of stemmed points, micro blades, and obsidian based on the result of radiocarbon dating for constructing a chronological sequence. As a result, the Late Paleolithic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more subdivided, five phases. The role of radiocarbon dating cannot help but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case of subdivided-layers with no standards as in the Late Paleolithic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방사성탄소연대의 보정
Ⅲ. 최상부 토양쐐기(LW)의 연대
Ⅳ. 방사성탄소연대를 활용한 편년
Ⅴ.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추천 논문
-
제주 고산리 유적의 편년과 성격KCI등재후보소상영(So Sangyoung) 한국신석기학회 한국신석기연구 제 33호 2017.07
-
한국 방사성탄소연대 이상연대치의 선별과 검증KCI우수등재김장석, 황재훈, 김준규, 오용제, 안승모, 성춘택(Seong C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 제107집 2018.06
-
원삼국~삼국시대 마한·백제 권역 취락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KCI우수등재박지영(Jiyoung Park)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 제104집 2017.09
-
이창희(Lee Chang Hee) 부산고고학회 고고광장 24권 2019.06
-
放射性炭素年代測定法의 原理와 活用KCI우수등재이창희(Changhee Lee)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보 제68집 2008.09
최근이용논문
-
전명남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복지상담교육연구 제6권 제1호 2017.04
-
한국국제협력단 국제개발협력 2006년 제3호 2006.01
-
조재천(Jaecheon Cho)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신약연구 제18권 제3호 201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