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4~6세기 신라 고배의 문양 변천

Chronology through the pattern in the high Cup in the 4~6th century Silla

  • 276

본고에서는 경주 황오동고분군 출토 고배에서 확인되는 문양을 각 단위문양으로 나누고 순서배열을 통해 상대서열하였다. 그 결과 문양은 점열문, 파상문, 집선문, 삼각집선문, 컴퍼스문, 거치문, 연속 ‘ X ’자문, 격자문, 송엽문, 사격자문, 삼각집선+ 컴퍼스문 순으로 발생순서가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양상은 각 단위 문양의 발생과 소멸 시기를 기점으로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5단계의 특징을 간단히 정리하면, 1단계는 점열문, 파상문 등 다치구 시문구를 이용한 문양이 나타나는 시기로 고식도질토기단계에서 신라토기단계로이행되는 과도기에 해당한다. 2단계 이후는 단치구 시문구를 이용한 단위 문양이 나타나고 문양이 증가하는 시기로 신라토기단계의 요소를 보인다. 3단계에는 다양한 단위 문양이 확인된다. 4단계에는 단위 문양이 조합되어 복합문이 확인되며시문방법과 도구가 단순해진다. 5단계 이후는 단치구 시문구가 주로 사용되며 인화문토기로 전환되기 전 시기로 문양에서도 인화문토기와 연결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와 같은 문양의 변화는 4세기 후반에서 6세기 중반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1단계 점열문, 파상문 등과 같이 가야지역과 동일한 문양을 공유하다가 점열집선문 등의 발생을 통해2 단계에 집선문이 등장하면서 가야지역과 다른 신라적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Was investigated chronology through the pattern in 5th century Silla High Cup. Silla High Cup has been studied mainly in aspects of morphological changes. However, not onl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t has a feature that patterns have been identified. And, do not go yet research on changes in the pattern. So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appearance of the pattern type and change. Patterns, the unit patterns 11 is confirmed.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ppearance of changes via a combination of patterns. Silla High Cup show the appearance of the 5 step change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pattern. Time is from the second half of the 4th century until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Importantly, Step 1, It seems the same pattern in the two regions(Silla and Gaya). And Zipsun-pattern(集 線文) appeared after step 2, and pattern is diversification. After this step 2, it is possible to look at the Shilla earthenware stage.

Ⅰ. 머리말

Ⅱ. 문양의 종류와 순서배열

Ⅲ. 문양의 단계별 조합(공반)과 변천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