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墓槽가 있는 목곽묘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wooden chamber tomb in the trough: Focus on Ulsan Sanha-dong archaeological sites

  • 45

묘조는 묘광 바닥에 설치된 홈 또는 도랑과 같은 형태의 수혈로, 묘의 바닥에 설치된 받침목 또는 목곽 내부를 지탱하는기둥이 안쪽으로 밀려드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로 이해되어왔다. 본 글은 목곽묘 묘조가 지역과 시간에 따라 여러 형태가있음을 확인하고, 그동안 다루어지지 않은 묘조를 활용한 목곽묘의 결구방법을 복원하여 유형을 설정하고 각 유형이 갖는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묘조는 남한 전역의 목곽묘에서 확인되며, 주혈과 유물의 부장위치, 목곽흔, 묘조의 형태나 위치 등을 통한 결구방법을기준으로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A형은 3세기 전반~5세기 전반의 경기ㆍ호서ㆍ호남지역의 마한ㆍ백제계 토광묘군에서, B형은 3세기 전반의 영남지역 목곽묘에서, C형은 5세기의 백제 목곽묘에서, D형은 3세기 말~6세기 중엽의 신라 목곽묘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목곽묘 묘조는 지역과 시간에 따른 특징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상정하고 가장 많은 수를 점하는D형 묘조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검증해보았다. 3세기 말에서 5세기 중엽에 해당되는 울산 산하동유적의 D형 묘조 목곽묘는 규모나 부장품, 제반 시설 등에서 하위에해당된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양상이 강릉의 D형 묘조 목곽에서 관찰되므로 D형 묘조 목곽묘의 지역성을 확인하고, 울산과 강릉 지역 목곽묘에서 동일한 묘조가 확인된 배경으로 신라 세력 확장에 따른 산하동 집단의 일부가 강릉지역으로 진출한 것으로 상정하였다.

Archeological site in Sanha-dong, Ulsan is tombs from wooden chamber tombs stage to stone chamber tombs stage. Wooden chamber tombs had appeared late into the 3rd century. Those Wooden chamber tombs are earliest stage in shoreline. The medium or small-scale wooden chambers were built, and the wooden chambers were subgroup as compared with surrounding areas judging from the scale and methods of the burial goods. The wooden chamber tombs in Sanha-dong, Ulsan had a unique combining structure. The tombs having the structure were called Sanha-dong style wooden chamber tombs. The Sanha-dong archeological site wooden chamber tombs were started from the Bronze Age, because there were very similar structures in the stone coffin tombs and wooden coffin tombs. Many tombs have been founded in Yeoung-Nam area, which are the ‘ㅍ’ type combining structure in the wooden chamber tombs stage. Therefore the Sanha-dong style wooden chamber tombs were made through developing traditional element. The unique structure was founded in Anhyeon-dong archeological site, Gangneung except for Sanha-dong archeological site, Ulsan. The Sanha-dong style wooden chamber tomb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stages from late into the 3rd century accompanied by gray earthenwares and unglazed earthenwares jar with short neck to late into the 5th century accompanied by mounted cup. According to changes with each step and hierarchy in group, the size, shape of tomb bottom and combination of remains appeared differently.

Ⅰ. 머리말

Ⅱ. 墓槽 목곽묘의 유형

Ⅲ. 울산 산하동유적 목곽묘로 본 墓槽의 지역성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