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신라 지상식 적석목곽분의 발생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f the occurrence of aboveground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in Silla

  • 350

본고에서 삼국시대 신라의 지상식 적석목곽분 발생에 대하여 확인한 결과 신라 적석목곽분의 발생과 변천에서는 그 계통성을 지상식과 지하식 구조로 나누어 생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존 자체발전설의 변천양상에서는 지상식 구조를 분리할 필요가 있으며 자체발생설에서는 발생한 형태가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즉, 자체발전설과 자체발생설 등의 연구결과에서 지상식과 지하식 적석목곽분을 양분하여 그 계통을 파악하면 각각 지상식은 자체 발생, 지하식은 자체 발전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발전양상에서 경주지역에 없던 새로운 축조방법으로 만들어진 지상식 적석목곽분의 경우 기존의 목곽묘와 계층적으로 차이를 보이며 이후, 매장주체부의 변화에 따라 발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지상식 적석목곽분의 발달과 함께 지하식도 적석이 일부 채용되고 봉분의 높이가 높아지는 현상을 거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경주를 중심으로 주변지역으로 적석목곽분의 요소가 파급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지상식 적석목곽분의 발생형태와 시기는 고구려와의 문화교류에 의해 완성형의 형태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고 그 시기는 4세기 말경에서 5세기 전반에 발생하여 신라 고분의 발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경주지역 신라 적석목곽분은 지상식과 지하식 구조로 분류하여 인식해야 하며 이러한 분류는 당시 계층에 따른 묘제가 결정되어 있었다는 것을 보여 준다.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is a typical burial systems of the three kingdom Silla. Wooden chamber tomb covered by stone are two types. This is an above-ground and underground. In previous studies, it was expected to change on the ground expression in the underground. However, the results were examined in this paper, The two are used during the same period. So in the case of above-ground, we tried to estimate the causes in the tomb system that did not appear in the Gyeongju area. In the case of above-ground, it can be seen to have appeared in complete form. Then affected the underground. In conclusion, Gyeongju area tumulus must recognize and classified on the ground and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n, these classifications indicate that the burial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time of the hierarchy has been determined.

Ⅰ. 서론

Ⅱ. 적석목곽분의 종류와 구조 비교

Ⅲ. 지상식과 지하식 적석목곽분의 시간성 비교

Ⅳ. 지상식 적석목곽분의 발생과 계통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