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영남지역 묘역지석묘 축조사회의 전개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that Built Dolmens in the Graveyards of Yeongnam

  • 153

이 글에서는 영남지역 묘역지석묘의 묘역시설에 중점을 두어 형식과 편년을 확인하고, 영남지역 묘역지석묘 축조집단의 관계와 변화를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묘역지석묘의 등장과 전개뿐만 아니라 청동기시대 중기와 후기의 사회변화상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영남지역의 묘역지석묘는 주구를 굴착한 묘역, 석재를 사용한 묘역, 주구와 석재를 같이 사용한 묘역이 축조되었다. 묘역의 세부 속성은 경계구조와 채움구조의 구조적 속성과 평면형태와 크기의 형태적 속성이 파악되었다. 형식분류를 통해 청동기시대 전기후반-중기전반-중기후반-후기로의 변화과정과 경북내륙, 경남내륙, 경남해안, 영남동해안의 지역적 특징을 함께 확인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후반의 묘역지석묘는 주구경계와 석재경계 모두 사용하였고, 종래에 축조되었던 수직적 경관의 지석묘에서 수평적 경관의 묘역지석묘로 변화하였다. 청동기시대 중기전반의 묘역지석묘는 주구경계와 석재경계가 모두 사용되며, 특히 석재를 사용한 묘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청동기시대 중기후반의 묘역지석묘는 규모가 거대해지고, 주구와 석재경계를 혼합한 묘역시설을 동반하였다. 또한 묘역지석묘와 부장유물인 적색마연토기의 지역성을 통해 지역집단간의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청동기시대 후기는 묘역지석묘와 함께 무덤이 없는 묘역, 즉 제단묘역이 확인된다. 이전 시기에 이미 제단묘역이 축조되었으나 후기에는 지역집단의 공동의례행위를 위해 묘역지석묘를 대체하는 시설이 되었다. 묘역지석묘를 활발히 축조했던 청동기시대 중기사회는 지역집단의 상호결속을 중요하게 여긴 사회였고, 집단의 결속은 공동의례를 매개체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영남지역에서 묘역지석묘를 가장 적극적으로 축조한 청동기시대 중기 이후의 사회는 제사를 관장하는 수장을 중심으로 수평적 위계화가 이루어졌던 사회로 해석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forms and chronologies of dolmens in the graveyards of Yeongnam with a focus on the graveyard facilities and examine the relations and changes of the groups that built dolmens in the graveyards of Yeongnam. The findings offer critical information about the changing aspects of Bronze Age from the middle stage to the late one as well as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dolmens in the graveyards. In the latter half of early stage of Bronze Age, they used both Jugu and stone material boundaries for dolmens in the graveyards and underwent a shift from the old dolmens with vertical landscape to the new ones with horizontal landscape. In the former half of middle stage, they used both Jugu and stone material boundaries for dolmens in the graveyards with diverse forms and structures confirmed in the graveyards that used stone materials. The latter half of middle stage witnessed the increasingly massive size of dolmens in the graveyards accompanied by the graveyards characterized by the combination of Jugu and stone material boundaries. The dolmens in the graveyards and the locality of red polished pottery buried in them confirmed the network of local groups. The late stage of Bronze Age was graveyards with no tombs or altar graveyards were built along with dolmens in the graveyards in the previous years, but it was in the late stage that they became the facilities to replace dolmens in the graveyards for the common ceremonial rites of local groups. The construction of dolmens in the graveyards was active, the society placed importance on the solidarity of local groups, which had the medium of common ceremonies.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estimated that the society that built dolmens in the graveyards of Yeongnam during Bronze Age was in a horizontal hierarchy around the head that supervised memorial services.

Ⅰ. 머리말

Ⅱ. 영남지역 묘역지석묘의 검토

Ⅲ. 묘역지석묘의 시기구분

Ⅳ. 영남지역 묘역지석묘의 전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