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연구자들은 사적 제214호인 전구형왕릉이 구형왕의 무덤이 되기에는 개연성이 미약한 것으로 보지만 그 성격에 관한 연구는 미약하였다. 특히 진홍섭 선생이 방단식석탑설을 제시한 이후 별다른 연구의 진전 없이 몇몇 학자들에 의해서 왕릉설에 대한 문헌적 검토만 이루어져 왔을 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종래의 연구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 아래와 같은 연구 성과가 있었다. 첫째, 전구형왕릉과의 관련성이 있는 관찬서와 민찬서를 검토한 결과, 1530년을 기점으로 왕산과 왕릉이 관찬 지리지에 속전으로 처음 등장하고, 적어도 1698년 이전부터 전구형왕릉은 구형왕의 무덤으로 실체화 되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전구형왕릉의 건립 입지와 평면형태 및 축조 수법을 분석한 결과 평면형태와 축조 수법에서 중세 墓域施設墳墓와 유사한 점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중세 분묘의 전형적인 입지유형과 불일치되고, 후대에 곡장 등의 묘역시설분묘의 중요 속성이 추가로 차용되어 중세분묘로 보기에는 근거가 부족하다. 더욱이 일반적인 가야 묘제와도 불일치되어 금관가야 멸망 시기의 유적으로 볼 수 있는 근거는 더욱 희박하다. 셋째, 휴전선 이남에 현존하는 방단식유적의 속성을 분석하고 전구형왕릉과 비교ㆍ분석하여 전구형왕릉이 민간신앙 중 용왕과 관련된 유적이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전구형왕릉은 당초에는 龍王과 관련된 민간신앙의 성소였다가 조선 후기에 구형왕릉으로 변형되었고, 용왕을 모시던 사당인 水晶宮은 寺刹로 그 성격이 변모된 것으로 판단된다.
Most researchers find the tomb of the King Guhyeong, the Korean Historic Site No.214, is not the King Guhyeong’s tomb. But there is not enough studies on the tomb’s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since Hong-Seop Jin presented the stereobate type stone pagoda theory,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Only few scholars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omb and the King Guhyeong from literature. Against this backup, this study has made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es and achieved the following accomplishments. First, I checked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published book. As a result, king mountain and royal tomb first appeared in government-published geography books around 1530. At least in 1698, this tomb substantiated as the King Guhyeong’s tomb. Second, I analysed on the location, the shape of plane surfac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omb. I found out the shape of plane surfac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were similar with middle age graveyard facilities. but there was not enough basis. Because this tomb does not match up with the typical location type of middle age graves, and the presence of the surrounding wall around the tomb makes it less eligible to put this tomb into the middle age tomb’s category. Furthermore, this tomb does not match a typical type of Gaya, making it all the more difficult to consider it as a historic relic at the time of collapse of Geumgwan Gaya Third, I analysed the stereobate relics below the truce line and then compare and analyse this tomb. I found out this tomb was likely to be related to the Dragon King of the Sea as a part of the folk religion. In conclusion, this tomb was a sanctum of the folk religion related to the Dragon King until it was transformed into the Royal Tomb of the King Guhyeong, while the Crystal Palace, a shrine sacred to the Dragon King changed its function to a temple.
Ⅰ. 머리말
Ⅱ. 유적의 특징
Ⅲ. 유적의 성격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