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弁韓社會의 中心地移動論

Migration of the central-place on Byeonhan society: Migration of Dahori group and Growth of Kimhae area

  • 228

이 논문은 변한지역의 분묘자료를 통해 유구와 유물의 시ㆍ공간적 특질을 검토한 후 지역성을 도출하고 분포론적 해석을 가미하여 중심지가 이동함으로써 변한사회가 성장해가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고식와질토기단계에는 전 기간 존속하였고 제일의 성층화를 이루고 있던 다호리 집단을 중심으로 낙동강-남강-사천만으로 이어지는 벨트라인과 마산만에서 남해안을 따라 늑도로 이어지는 라인으로 Circular Net을 형성하고 있었다. 늑도는 다호리 집단의 내외적 성장에 교두보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AD 100년경을 전후한 시기에 다호리집단이 고김해만지역으로 이주하게 되면서 양동리와 대성동유적군을 중심으로 새로운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변한사회는 큰 전환점을 맞이한다. 중심축의 東進은 큰 충격파로 전해지는데, 다호리 네트워크의 붕괴는 늑도교역시스템의 해체로 이어지고, 서부경남지역에서는 이후의 와질토기문화를 공유하지 못한 채 고고자료의 문화지체 현상이 나타난다. 뒤이어 김해지역은 목곽묘사회로 변모하게 되면서 정치체를 형성하여 금관가야의 맹주가 되어간다. 특히 왜계유물의 출토양상, 즉 기종과 분포의 변화는 한일 개별집단의 상공업적 성격이 강한 재화의 교역에서 정치체 간의 권력창출형 교역으로 변화한 것을 시사한다. 다호리 집단은 위신재와 철기의 생산과 재분배를 통한 통제, 대외교역의 지리적 이점 및 철광석의 안정적 공급을 실현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을 통해 김해지역을 혁신지구로 선정한 것이다. 중심지가 이동하게 되면서 변화해 가는 변한사회의 성장과정은 본고에서 밝혀낸 고고자료의 시ㆍ공간적 특질이 뒷받침해주고 있다.

Dahori network was social center on Byeonhan area until the first century A.D. Dahori group was to form circular net with a foothold of growth in Neuk-do which was a trade center. By the way, Dahori group emigrate to Kimhae area and form a new network after the first century A.D. Byeonhan Society greatly changes by the movement of the central axis. That is to say, collapse of Dahori network leads to the dismantling of Neuk-do trading system. Then a culture lag of archaeological materials appears in western Gyeongnam area. Kimhae area changes into society of wooden chamber tomb and gradually becomes the leader of Geumgwan-Gaya. The kind and distribution of artifacts related Wa(倭) also changes. This means that character of the trade changed. In other words, character of the trade varied from the trade of the commercial and industrial product to power creation type trade. Dahori group chose Kimhae area for a geographical advantage of the foreign trade and stable supply of the iron ore as an innovation district. The characteristic of archaeological materials which I analyzed supports the growth process when Byeonhan society changed by the migration of the central-place.

Ⅰ. 머리말

Ⅱ. 弁韓 12國의 母體

Ⅲ. 김해지역의 성장

Ⅳ. 목곽묘의 출현과 전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