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區分磨硏 技術의 出現과 展開

The Emerge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Focusing on the weapon-shaped bronze implements, excavated in Korea and Japan

  • 50

구분마연 기술의 출현은 한국식동검의 성립으로 이어진다. 필자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동주식동검과 한반 도의 한국식동검에서 A1식 구분마연 기술이 동일하게 관찰된다. 때문에 구분마연 기술의 출현은 유보적이며양 동검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반도의 출토 양상을 검토하면 한국식동검은 청동기시대 후기에 마제석촉과 공반되는 사례가 증가한다. 이는 마제석검을 대신하여 한국식동검이 부장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재지집단의 채용으로 이해된다. 구분마연 무기형청동기는 한반도에서 多鈕粗文鏡, 일본에서 多鈕細文鏡과 공반되어 初出된다. 이러한 공반 양상은 한반도에서 다뉴세문경을 소유한 집단의 변화와 밀접한데 이는 집단의 이주로 볼 수 있다. 양 지역에 구분마연 기술의 존재는 상호 연동되고, 일본 출토 무기형청동기의 祭器化는 한반도에서 전래된 것으로 파악 된다. 즉, 한반도에서는 所有者 및 小規模의 祭祀 行爲를 韓國式銅劍과 祭器形靑銅器, 일본에서는 大規模의 祭 祀 行爲를 武器形靑銅器와 銅鐸에 이입된 것이다. 이와 함께 일본 출토 청동기의 ‘ ’표식, 청동기 부장 양상, 고인골 출토, 청동기 납동위원소 등은 한반도와 직ㆍ간접적인 상호 관련성이 인정된다. 결국 일본에서 무기형청동기는 청동기 제작 외에 구분마연 기술 및 기능까지 한반도에서 연원하였다. 이는 集團의 移住와 密接하고, 先進文化의 受容으로 이해된다.

The emergence of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continues to form the Korean type bronze dagger. According to the survey, the A1 typ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is equally found in the east Zhou(Dongju) type bronze dagger in China and Korean type bronze dagger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emergence of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seems to have been reserved and needs constant reviewing in both bronze daggers. Furthermore, reviewing the excavation pattern, it is seen that the rise in the number of cases that the Korean type bronze dagger of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coexists with the polished stone arrowhead during the late Bronze Age. This means Korean type bronze daggers were buried instead of the polished stone arrowhea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spread and acceptance of the local group. The weapon-shaped bronze implements of section polishing were excavated in association with the coarse-lined geometric bronze mirror in Korean peninsula and fine-lined geometric bronze mirror in Japan. This aspect is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group with the fine-lined geometric bronze mirror, which is identified in the shift of the group. In addition, the Korean type bronze daggers, excavated in Japan are connected to the change of the Korean type bronze daggers into the ritual bronzes. In Korean peninsula, weapon-shaped bronze implements were transferred to the ceremonial action of a host or small-scaled rituals, while in Japan, large-scaled ceremonial action was involved with the weapon-shaped bronze implements. This makes us estimate that the change of the weapon-shaped bronze implements into the ritual bronzes in Japan began in Korean peninsula. Japan’s weapon-shaped bronze implements originated from those in Korea from the bronze production technique to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This is recognized as the acceptance of advanced culture in association with the move of the group.

Ⅰ. 머리말

Ⅱ. 區分磨硏 技術의 出現

Ⅲ. 日本 出土 區分磨硏 技術의 分類

Ⅳ. 區分磨硏 武器形靑銅器의 展開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