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청동기시대 영남지역 출토 인골을 통해 본 젠더 연구

A Study on the Gender through the Human Remains Excavated from the Yeongnam Region of the Bronze Age: Focused on the Burial Pattern and the Burial of Polished Stone Dagger

  • 183

본 연구는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인골에 대해 연령, 성별, 매장자세, 석검부장 등을 분석하여 매장패턴을 살펴보았다. 매장자세의 경우 신전장은 성년 이상의 남성 중 일부와 여성 한 개체에서만 나타났으나, 굴장은 연령이나 성별에 상관없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석검은 약년 이상의 남성 중 일부와 여성 한 개체에게 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매장패턴에 대해 당시 사회의 젠더와 연관지어 검토한 결과, 신전장 및 석검의 부장을 통해 남성성이 표출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남성성이 표출되는 양자의 비교를 통하여 이들이 서로 다른 원인이나 조건으로 인한 각각의 메커니즘을 통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이처럼 매장패턴상 남성성의 표출이 다방면으로 나타나는 반면 여성성의 표출은 보이지 않는 점에서, 청동기시대 사회의 매장에 있어서는 남성의 표현이 강조되고 여성의 표현은 다소 제한되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burial pattern of the Bronze Age human remains excavated from the Yeongnam Region. The buried’s posture along with the presence/absence of a polished stone dagger has been analyzed in relation to a buried’s age & sex that were judged in the characterization analyses of the human bones. As a result, the mortuary practices of extended posture(伸展葬) have been found in one female and a part of males over adult, and the mortuary practices of flexed posture(屈葬) have been identified regardless of age & sex. And the burial of polished stone dagger had appeared in one female and a part of males over juvenile. Through these analytical results, it figured out the social aspect of the Bronze Age in relation with gender. As a result, it confirmed that gender related to male is symbolically expressed very actively in the mortuary practices of extended posture and the presence of the buried stone dagger. The comparison with both lines of evidence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dynamic mechanisms caused by different causes or conditions. A gender related to male is symbolically and more actively expressed in this way. On the other hand, a female-related gender is not shown. This phenomenon might imply the society of the Bronze Age in the Yeongnam Region was presumed to have emphasized the androcentric expressions while it might have slightly refrained the female expressions.

Ⅰ. 머리말

Ⅱ. 유적별 인골 출토 현황

Ⅲ. 출토 인골의 매장패턴 분석

Ⅳ. 매장패턴에 보이는 젠더와 그 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