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국어 ‘-도’ 통합형 양보 관계 연결어미 연구
A Study on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with ‘-do’ in Modern Korean
- 어문연구학회
- 어문연구
- 語文硏究 第105輯
- : KCI등재
- 2020.09
- 5 - 33 (29 pages)
본고는 근대 국어에 나타나는 연결어미 ‘-고도, -어도, -ㄹ지라도, -더라도’와 같은 보조사 ‘-도’ 통합형 양보 관계 연결어미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결어미 ‘-고도’는 주어 인칭 및 선·후행절 주어 일치 제약을 보이지 않으며, 일반 용언에는 자유롭게 결합하나 계사 ‘-이다’와의 결합 예는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존대법을 제외한 다른 선어말어미와의 결합 예도 확인되지 않으며, 후행절로는 명령문의 예가 극히 드물고 청유문의 예는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후행절 서법 제약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어도’와 ‘-ㄹ지라도, -더라도’는 이러한 통사적 제약을 보이지 않는다.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이들 연결어미가 ‘양보’나, ‘양보적 조건’, ‘대립/대조’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논의하였으며, 학자에 따라서는 ‘-고도’ 등을 ‘양보’의 연결어미에서 제외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 연결어미는 기원적으로 ‘추가’의 의미를 갖는 보조사 ‘-도’의 통합형으로 연결어미 자체는 ‘-도’에 의해 유발되는 여러 대안 집합에서 극단적인 상황과 같은 특정한 상황의 추가를 나타내며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후행절의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는 화자의 믿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구문은 후행절의 사태에 따라 ‘양보’뿐 아니라 ‘역동’의 의미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고도’ 구문과 달리 ‘-어도, -ㄹ지라도, -더라도’ 구문은 공통적으로 사실적 사태뿐 아니라 가능 세계의 사태나 불가능한 비사실적인 사태와 반사실적 사태까지도 나타낼 수 있으며, 선행절과 후행절의 시간적인 의미 관계 역시 특정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of the conjunctive endings with an auxiliary particle ‘-do’, such as ‘-godo’, ‘-eodo’, ‘-lgirado’, and ‘-deorado’. First, this research examined the syntactic properties of the conjunctive constructions above in several aspects: subject and predicate constraints, preceding prefinal endings, and mood of the following clause. ‘-godo’ constructions show no subject constraints, but show a constraint on the others. There were no examples that ‘-godo’ combined with a copula ‘-ida’ and followed any prefinal endings except honorific endings ‘-si-’ and ‘-sʌp’. Also, there were no examples that ‘-godo’ constructions were followed by a proposative sentence. However, the constructions of ‘-eodo’, ‘-lgirado’, and ‘-deorado’ show no such syntactic constraints. The conjunctive endings have been mostly analyzed as a conjunctive ending that has a meaning of ‘concession’, ‘concessive-condition’, or ‘opposition’ and some conjunctive endings such as ‘-godo’ were excluded from the list of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in some previous researches. However, this research elucidated that the conjunctive endings have a meaning of ‘addition of any particular situation from an alternative set’ caused by the meaning of ’-do’, along with the speaker’s assurance that the following event will occur regardless of whether the event expresses a denial of general expectation or the same or similar event which the speaker expects. The construction shows the meaning of ‘concession’ in the former case, while the construction shows the meaning of ‘sameness’ in the later case. In addit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constructions of ‘-eodo’, ‘-lgirado’, and ‘-deorado’ can denote a non-factual event and counterfactual event as well as a factual event and can not specify the temporal relation between the antecedent clause and the following clause, unlike the constructions of ‘-godo’.
1. 들어가는 말
2. ‘-고도’ 구문의 통사 · 의미적 특성
3. ‘-어도’ 구문의 통사 · 의미적 특성
4. ‘-ㄹ지라도’ 구문의 통사 · 의미적 특성
5. ‘-더라도’ 구문의 통사 · 의미적 특성
6.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