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환경적 특성이 산업기술 유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합리적 선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이장욱(Lee, Jangwook) 조상현(Cho, Sanghyun)
- 한국공안행정학회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제29권 3호(특별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8
- 161 - 185 (25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연구직 근로자에 의한 산업기술 유출의도에 보안관련 조직환경요인인 보안풍토 및 직무 관련 조직환경요인인 조직적 제약이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합리적 선택 요인이 조직환경요인(보안풍토, 조직적 제약)과 산업기술 유출의도와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기업에 근무하는 연구직 종사자 272명을 대상으로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정책요인, 문화요인과 조직적 제약은 모두 산업기술유출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합리적 선택과의 상호작용을 확인한 결과, 인지된 이익은 모든 독립변수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인지된 위험은 정책요인 및 조직적 제약 요인이 산업기술 유출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연구직 근로자가 산업기술 유출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인지한위험요인은 경영진의 보안 관련 정책요인의 증가로 인해 낮아진 산업기술 유출의도를 더욱 감소시키고, 조직적 제약의 증가로 인해 높아진 산업기술 유출의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curity climate and organizational constraints affect the inten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by R&D workers, and to determine whether rational choic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ove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on 272 R&D workers working at various companies,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is survey. The analysis showed that all independent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Furthermore, the perceived benefits of rational choice showe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ith all in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perceived risk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factors and the inten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leakage as well as between organizational constraints and the intention of leakag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