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과 베트남 청년의 이문화 변화추이를 고찰하여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목적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 청년과 베트남 청년의 이문화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함과 아울러 이문화 요인인 집단주의적 문화, 전통관습중시 문화, 성과중심적 문화, 장기적·인내하는 가치문화, 평등한 사회문화, 신중·안정적(여성중심적) 가치문화가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베트남 협상자의 협상 행태를 파악하는데 있다. 아울러 시대환경변화로 이문화 변화추이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행동패턴을 연구하여 베트남과의 관계결속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전통관습 중시문화, 성과중심적인 문화, 평등한 사회문와의 가치관 속성을 가진 베트남은 청년은 비언어커뮤니케이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집단주의적 장기적이고 인내하는 문화, 신중하고 안정적이며 여성적인 문화 속성을 가진 베트남 청년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집단주의 문화와 여성주의적 문화 가치관을 청년들은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모두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문화의 속성은 또 다른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intercultural change among youths in Korea and Vietnam to understand their impact on business communication. In order to derive the purpose, the trend of cross-cultural chang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youths is compared and analyzed, and cross-cultural factors such as collectivist culture, traditional custom-oriented culture, performance-oriented culture, long-term and enduring value culture, equal social culture, prudent. It aims to understand the negotiating behavior of Vietnamese negotiators by analyzing the impact of a stable (female-centered) value culture on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ill be conducted to help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Vietnam by studying communication behavior patterns according to the trends of intercultural changes due to changes in the time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ietnam, which has the attributes of traditional customs-oriented culture, performance-oriented culture, and equal social literacy value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non-verbal communication while youth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on-verbal communication. Vietnamese youth with cultural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no effect on non-verbal communication. Because young people do not pay attention to both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bout the Vietnamese collectivist culture and feminist cultural values,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ultures are different communi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연구 및 연구가설
Ⅲ. 실증적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