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국가와 신흥경제권의 IT 관련제품의 세계 수출 점유율 추이는 2015년에 6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세계의 공장이라 불리는 중국의 국제분업구조 측면에서 국제경쟁력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본고는 동아시아국가 및 신흥국 지역의 IT관련제품의 국제분업구조를 부품과 최종재로 분류하여 무역특화계수(TSI:Trade Specialization Index)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국은 산업고도화가 진행되면서 조립가공 및 조립공정이 최종재 수출을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ASEAN국가 및 신흥국 국가와의 무역에서 부품산업의 분업이 증가하고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향후 중국의 최종재 생산을 위한 입지전환 및 입지선택이 ASEAN 국가와 신흥경제권으로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이며 기업의 상품생산의 수평분업과 기술개발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trend of global export share of IT-related products in East Asia and emerging economy areas takes up for 67% in 2015. Especially, in terms of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in China, which is called the global factory,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has been strengthened as the time passes.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IT-related products in East Asia and emerging economy areas was classified into parts and final products and analyzed using the trade-specific coefficient. As industrial upgrading progresses in China, the assembly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 are strategic choice for the export of final goods, with the division of the parts industry in trade with ASEAN countries and emerging countries and exports steadily have been increased. In the future, location conversion in China and location selection for the production of final goods are expected to spread further to ASEAN countries and emerging economy areas, and the horizontal division of corporate product produc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re expected to expand.
I. 서론
II. 중국IT관련 제품의 무역구조
III. 중국의 ASEAN과의 국제분업구조 분석
IV.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