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서울시 관내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효과

Effect of Death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 409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서울시 관내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중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중심으로 한 단회기 교육이 관련 지식, 죽음태도, 죽음불안 및 삶의 의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은 서울시 관내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노인들을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24명으로 나누어 사전 검사 실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1회, 회기당 90분, 총 3회기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육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4주 후 다시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죽음준비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사후, 추후 검사만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죽음준비교육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단기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관련된 지식과 죽음태도, 죽음불안, 삶의 의미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며,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도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이와 같은 교육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해 참여자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죽음에 대한 태도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에 영향을 주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중심으로 한 단회기 교육이 노인의 관련 지식 및 죽음불안, 죽음태도,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수 있었으며, 죽음준비교육 진행 시 고려해야 할 구성별, 내용별, 회기별 적절성과 향후 죽음준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hort-term death education focused on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on the related knowledge, Attitude about Death,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of the elderly 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mong the elderly over 60 years of age in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30 subjec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subjects for the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had pre-tests before the education. Three sessions of 90-minute Death Education were conducted once a week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after the educ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continuity of the educational effect, the follow-up tests were performed after 4 week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death education, but they had the same post-tests and follow-up tes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related knowledge, Attitude about Death,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when Death Education focusing on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was conducted in a short-term. The education can provide participants with relevant information about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and may have some impact on their attitudes toward death. However, the impacts on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may be limit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 short-term education centered on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on the related knowledge, Death Anxiety, Attitude about Death, Meaning of Life of the elderly was examin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composition, content, and the number of sessions for the appropriate Death Education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