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697.jpg
KCI등재 학술저널

다면평가의 활용 방식에 따른 유형화 연구

Practical reconsideration of multi-source feedback: Typing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method of multi-source feedback

  • 227

다면평가는 기존 성과평가가 갖는 문제를 극복함으로써 평가의 체계성과 타당성 등을 강화할 수 있는 평 가방식이다. 즉, 다면평가의 도입을 통해 다양한 주체의 평가정보를 확보함으로써 평가의 효과성이 증대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다면평가의 규범적인 효과성을 강조함으로써 공공부문에 다면평가 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거나, 혹은 다면평가가 갖는 다각적인 효과성을 실증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다면평가를 도입한 기관이 해당 제도의 도입을 통해 어떤 성과를 기대하는지, 그리고 도입된 목적 등을 고 려하여 다면평가가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본 연구는 총 11개의 기관을 대상으로 다면평가의 도입 목적과 활용 방법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다면평가는 성과평가의 체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 외에도 조직이 당면한 다양한 인사 및 조직관리의 문제(ex: 평가의 공정성 제고, 조직 문화 개선 등)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실무에 서 활용이 가능한 일곱 가지의 다면평가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각 유형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Multi-source feedback is one of the evaluation methods that emphasize the valid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extant evaluation system. In us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has been produced by multiple participants, the method has increased the validity of evaluation. The previous studies have maintained the usefulness of normative effectiveness of multi-source, as well as conducted empirical studie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valuation method. Even though the extant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above issues, they have not been interested in the practical matters of multi-source feedback, including the expectations of institution that conduct the evaluation methods. Due to the limitations in th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conducts the in-depth interview which examines the purposes and practical approaches of multi-source feedback. The results note that the institutions have employed the method to overcome the organizational problems, such as the improvements of fairness of evalu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Additio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practical categorization of multi-source feedback to solve the previous problems of performance evaluation.

Ⅰ. 서 론

Ⅱ. 문헌 및 현황분석

Ⅲ. 다면평가 운영의 사례분석: 인터뷰를 중심으로

Ⅳ. 다면평가의 유형화 필요성 제기

Ⅴ. 결론 및 토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