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 평생학습과 검정고시 연계를 위한 코퍼스 기반 초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영어 문항 어휘 분석 연구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워크숍 및 연례 학술대회
- 2020년 워크숍 및 연례 학술대회 발표집
-
2020.0992 - 93 (2 pages)
- 43

검정고시는 정규학교에 미진학하거나 학업 중도 포기자 등에게 계속 교육받을 기회를 제공하고 국가 교육 수준 향상을 도모하여 교육의 평등 이념 구현하는 시험이다. 초등학교 졸업학력(이하 초졸) 검정고시는 평생학습과 상위 학급에 진학하여 성공적인 학습의 기초 발판을 세우고 수험자의 자아 실현을 돕는 가장 근본적인 국가고사라고 할 수 있다. 교육의 근본적인 발판이 되는 초졸 검정고시는 전국단위 시험이나 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고부담 시험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모의평가 등과 다르게 다각적인 측면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영어를 학습함에 있어서 어휘의 중요성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끊임없이 주장되어 왔으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초졸검정고시 영어 문항의 어휘에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태국과 정채관(2020)에서 살펴본 초졸·중졸·고졸 검정고시 영어 어휘 중에서 초졸 검정고시에 초점을 맞춰 초졸 검정고시 영어문항에 나타난 어휘의 성격과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WordSmith Tools 7.0과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어휘 다양도, 고빈도 어휘 분석, 키워드 분석 및 정서 분석을 통해 초졸 검정고시 영어 문항에 나타난 어휘의 성격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졸 검정고시에서는 교육과정별 어휘 다양도는 약 2%내에서 출제되어 2007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바뀌어 검정고시가 출제되어도 시험의 질은 유지하고 있었다. 초졸 검정고시는 ‘I’와 ‘YOU’와 같은 인칭대명사가 고빈도 어휘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초졸 검정고시가 매우 구어적인 특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었다. 2007 및 2009 초졸 검정고시 모두 주로 ‘스포츠’, ‘학교 생활’과 관련된 어휘가 주요 키워드로 산출되었으며, 긍정적인 의미의 어휘가 부정적인 의미의 어휘보다 각 약 3%, 5%정도 많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초졸검정고시 응시생들이 평생 학습과 상급 학교 진급 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영어 문항 출제 시 구어적 특성과 문어적 특성을 고루 반영해 출제할 필요가 있으며, 인지적 발달을 위해 다양한 소재의 어휘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응시생들이 균형있는 정서 표현 어휘를 익힐 수 있도록 부정적 어휘의 사용 비율과 긍정적 어휘 사용 비율을 비슷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가 현재 다른 중·고등학년 군과 다른 고부담시험에 비해 소외되어 있지만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초졸 검정고시 발전이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