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지면과 욕창 단계에 따른 경계압력 차이
Interface Pressure Differences according to Support Surfaces and Pressure Injury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2 No.5
- : KCI등재
- 2020.10
- 2049 - 2062 (14 pages)
경계압력은 욕창발생과 관련되며,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방중재로 지지면의 사용이 권장된다. 본 연구는 지지면인 일반매트리스와 폼매트리스에 따라 천골부와 후두부의 경계압력 및 욕창단계에 따른 경계압력을 비교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2018년 12월부터 2019년 9월까지 J 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입원 중인 총 162명(일반병동 86명, 중환자실 76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30° 앙와위에서 지지면에 닿는 천골부와 후두부에서 경계압력을 측정하고 미국욕창자문위원회의 분류에 따라 욕창단계를 사정하였다. 자료분석은 independent t-test, ANOVA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일반매트리스와 폼매트리스 각각의 경계압력은 천골부(63.21±21.34, 40.54±13.81mmHg, t=8.11, p<.001)와 후두부(60.39±22.02, 43.57±13.53mmHg, t=5.77, p<.001) 모두에서 일반매트리스가 폼매트리스 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일반매트리스의 욕창 발생군에서 천골부의 경계압력이 현저히 높았다(t=6.28, p<.001). 욕창단계에 따라 일반매트리스는 천골부, 폼매트리스는 천골부와 후두부 욕창발생군이 욕창비발생군에 비해 경계압력이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욕창발생위험이 높은 대상자의 지지면에서의 경계압력을 낮추고, 욕창예방을 위해 경계압력 감소 효과가 큰 고성능의 매트리스를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nterface pressure (IP) of support surfaces between standard hospital mattress (SHM) and foam mattress (FM), and IP according to pressure injury (PI). A total of 162 adults participants (86 using SHM in general wards, 76 using FM in intensive care units) at G Hospital in South Korea were enrolled. The IP was and stage of pressure injury measured over the sacral and occipital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8 to September 2019 and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ANOVA. IP on the SHM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than FM in both sacral (63.21±21.34 and 40.54±13.81 mmHg, t=8.11, p<.001) and occipital area (60.39±22.02 and 43.57±13.53 mmHg, t=5.77, p<.001). The IP of sacral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resence of PI group (t=6.28 p<.001) in case of SHM. Nursing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interface pressure redistribution a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use of FM rather than SHM.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