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766.jpg
KCI등재 학술저널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윤리적 민감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ultural Competency and Ethical Sensitivity on the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DOI : 10.37727/jkdas.2020.22.5.1909
  • 32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윤리적 민감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은 193명의 간호대학생 3, 4학년으로, 자료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2019년 11월 1일부터 11월 29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Pearson 상관계수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문화적 역량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3.43±0.48점이었으며, 윤리적 민감성의 평균점수는 7점 만점에 4.99±0.55점이었고, 간호전문직관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3.63±0.49점이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만족도(β=.24, p=.001), 전공만족도(β=.16, p=.029), 문화적 역량(β=.15, p=.043), 입학동기(β=.13, p=.047)로 나타났으며,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이들 변인의 총 설명력은 19%였다.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전문직관 형성을 위해서는 이론과 실무 정규 교과과정에 다문화 간호 교육 프로그램을 반영하여 문화적 역량을 키우고,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만족도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ultural competency and ethical sensitivity on the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The sample in this study consisted of 193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1 to November 29, 2019, and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21.0 software. The mean score for cultural competency was 3.43±0.48 out of 5, While the mean score for ethical sensitivity was 4.99±0.55 out of 7. Further, the mean score for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63±0.49 out of 5.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19% of the factors predi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F=8.86, p<.001) comprise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β=.24, p=.001),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β=.16, p=.029), cultural competency (β=.15, p=.043), and motivation for applying to nursing courses (β=.13, p=.047). To improve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that can improve cultural competency among them and enhance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their major.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