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903.jpg
KCI등재 학술저널

原三國·三國時代實用土器의 生産

The Production of Utilitarian Ware in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 70

일반적으로 실용토기는 취락 내, 혹은 주거 안에서 이루어지는 저장, 임시저장, 운반, 조리, 식사 등의 일상적 활동과 연관된 토기를 일컫는 말이다. 실용토기 연구는 그동안 지역 구분과 시기적 변화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왔지만, 이 연구는 소비와 생산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해 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영남, 그중에도 낙동강 이동지역의 실용토기를 중심으로 토기군의 변화를 서술하고 주거 및 취락의 변화와 관련하여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살폈다. 실용토기 유물군의 양상과 성격은 주거와 취락 내 생활방식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원삼국·삼국시대, 가옥 내 생활방식과 실용토기 기종구성은 점토대토기 후기에 시작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상당히 오랜 기간 기본구성은 변함이 없으며 6세기 후반에 큰 변화가 있을 때까지 유지된다. 둘째, 영남 동남부의 취락유적 출토 토기군을 한강유역 및 호남지역의 그것과 비교하여 주거 및 취락 내에서의 인간 활동의 차이에 따라 저장 토기, 식기 및 의례용 토기의 비율이 달라질 수 있음을 살폈다. 삼국의 각 지역은 주거 내 활동, 특히 조리 방식의 유사성으로 실용토기 구성에서 공통기종이 존재했지만, 저장방식의 차이로 대형저장 토기의 빈도에서 지역차가 뚜렷했다. 영남 동남부지역에는 5세기 무렵, 주거지 내부에서 출토된 토기 가운데 식기와 의례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데, 그릇 사용과 관련하여 주목해볼 만한 일이다. 셋째, 한강유역과 영남, 그리고 호남지역 제 지역의 신기술 수용과 전승 과정 그리고 생산조직의 형성과정을 비교해 본 결과 실용토기 생산조직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러한 차이로 인해 취락 내 실용토기의 기종구성과 생산기술의 발전에도 지역차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반 취락에서 소비된 토기가 취락, 혹은 소규모 취락군을 단위로 생산되었던 마한·백제지역과 정치체의 생산조직이 한 사회 내 모든 토기 수요를 일괄 생산해 낸 신라·가야지역은 뚜렷이 대비된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diversity of the utilitarian ceramic assemblages found in the settlement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South Korea. The previous researches of the utilitarian ceramic vessels have focused on the regional chronology, use-wear analysis, manufacturing technolog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but this study, focusing on the village economy, approache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understand how the human activities such as storage, transport, cooking, dining, and ritual, the form and scale of houses and the settlement facilities such as storage pits and raised houses, and capacity and relative proportions of various utilitarian vessel types interact with each other. Second, the variabilities of production organization are tried to be explained, based on an analysis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ttlement and kiln workshops, and the size distribution of storage vessels and the relative frequency of each vessel type discovered from the kiln remain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ility of utilitarian ceramic assemblage, human activities such as storage, cooking and ritual, the structure and scale of houses, and the form of storage facilities.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production of utilitarian ceramic vessels was organized in a different way according to the pattern of using and consuming them in the village.

Ⅰ. 머리말

Ⅱ. 개념 검토와 연구 관점

Ⅲ. 주거 및 취락의 변화와 실용토기

Ⅳ. 생산조직의 변동과 실용토기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