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903.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석기시대 바이칼과 내몽골~길림 지역의 망상문토기 유형 비교고찰

Comparative study of mesh ceramics types in Baikal and Inner Mongolia in the Neolithic period.

  • 15

망상문토기와 승선문토기는 내몽골 후투목알(後套木嘎) 유적 4기의 특징적 유물로 알려져있다. 합극(哈克)유적, 합민망합(哈民忙哈) 유적, 쌍탑(雙塔) 유적의 2기, 남보력고토(南寶力皐吐) 유적의 D지점, 휘하수패(輝河水壩) 유적에서 5500~5000년 전에만 출토된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합극(哈克)유적과 휘하수패 유적, 후투목알 유적 4기의 토기는 합민망합 유적 토기와는 그 특징과 절대연대에서 차이가 보여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 기간에는 내몽골과 길림일대에 홍산문화의 압인지(之)자문토기가 알려져 있어, 제작방법이 다른 토기가 출토된다는 점에서 그 연원에 대해서도 고찰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대흥안령의 외곽에 위치한 합극유적과 가까운 바이칼 지역에서도 망상문토기와 승선문토기가 출토된다. 실견한 결과 내몽골의 토기는 조직이 성긴 직물을 도구 위에 감아서 찍은 토기로, 시문방법이 바이칼 유역의 토기와 같다. 승선문토기도 새끼 줄을 막대에 감아 만든 도구를 두드려서 시문한 것으로, 망상문토기와 함께 양 지역에서 모두 출토된다. 양 지역 모두 망상문 토기가 더 주요하기 때문에 망상문토기유형으로 부르고자 한다. 바이칼 지역에서는 프리바이칼과 자바이칼 지역의 유적에서 망상문토기와 승선문토기가 조합식석인검과 함께 출토되는데,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7900~7000년 전 승선문토기와 망상문토기가 함께 있는 바이칼 망상문토기 유형 Ⅰ단계와 7000~6500년 전 승선문양은 줄어들며 주로 망상문이 출토되는 바이칼 망상문토기유형 Ⅱ단계이다. 각 단계별로 세부적인 토기 특징에 차이가 있다. 함께 출토되는 조합식석인검은 Ⅰ단계에서는 이 지역의 고토기 단계부터 존재한 8cm미만의 유물, 15~20cm, 20cm이상의 유물까지 모두 확인되지만 Ⅱ단계가 되면 길이가 20cm이상만 확인된다. 내몽골의 토기는 세 단계에 걸쳐서 출토된다. 바이칼 지역과 가장 가까운 합극 유적을 7000년 전 Ⅰ단계로 볼 수 있다. 망상문토기와 승선문토기가 있으며, 승선문양이 시문된 첨저토기도 있다. Ⅱ단계는 5500~5000년 전으로 망상문토기 및 승선문토기, 무문토기 등이 주를 이룬다. 첨저는 없고 호형, 발형, 잔발형토기 등 기형이 다변화된다. 망상문과 승선문은 문양요소만 남아있고 기형으로 보아 이미 재지화 되었다. Ⅲ기는 4500~4000년 전의 유적으로 망상문 및 승선문양이 다른 문양요소와 복합되어 나타난다. 이 지역의 조합식석인검도 Ⅰ단계부터 출토되는데, 특히 Ⅱ단계 합민망합 유적의 출토품은 바이칼 유역의 부후산 유적, 실카유적 출토품과 유사하다. 내몽골~길림 망상문토기유형 Ⅰ단계가 등장한 시점에는 압인지(之)자문토기가 특징인데, 망상문토기 및 승선문토기는 제작방법이 전혀 달라 다른 지역으로부터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합극 유적은 대흥안령의 외곽에 위치하고 자바이칼유역과 가까운 곳으로 바이칼 망상문토기 Ⅰ단계에서 유입되었을 수 있다. 내몽골에서는 한 시기에만 확인되지 않고, 오랜 시간 걸쳐 지역 내에서 재지화 되었다.

The archaeological data of Inner Mongolia region not only the Bronze Age but also the Neolithic Age have a connection with the Baikal region. The relevance of the two regions has already been studied in A-C at the Nanbaoligaotu site of Xiaoheyan Culture. It is likely that you came from the region. Phase I of the Baikal Mesh ceramics, together with the Mesh ceramics and vessels with traces of a clapper wrapped in a cord, are from 7900 to 7000 years ago. Mesh ceramics are mainly excavated during the Baikal PhaseⅡ7000-6500 years ago. In stages I andⅡ, Johabsig seog-in geom is excavated. There are some small artifacts of less than 8cm in stage I, but only large artifacts of more than 20cm are left in stageⅡ. Earthenware from the I stage of the Baikal basin is identified 7,000 years ago at the Hag site located in the Horyung Pai Basin close to Trans-baikal. The site have earthenware with a pointed bottom, and Johabsig seog-ingeom is also excavated. Phase Ⅱ is 5500~5000 years ago, while mesh ceramics occupy a large portion, but vessels with traces of a clapper wrapped in a cord are also excavated, and unpatterned earthenware is also excavated. It was localized in the form of earthenware. The excavations of the Haming Mangha site among the communal stone seals are similar to the ruins of the Buhusan site and Silka site of Baikal. Inner Mongolia Ⅲ stage is 4500~4000 years ago, and the delusional pottery and the embarkation pottery are combined with other pattern elements, and it is observed that the deformity is also different.

Ⅰ. 머리말

Ⅱ. 연구동향 및 문제제기

Ⅲ. 바이칼의 망상문토기 유형

Ⅳ. 내몽골~길림의 망상문토기 유형

Ⅴ. 바이칼 유역과 내몽골~길림지역 비교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