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글로벌 평생교육을 위한 한국어 멀티모달 콘텐츠의 구조화 요인 탐색

Exploring Structural Factors of Korean Multi-modal Content for Global Lifelong Education

  • 270
153812.jpg

본고에서는 사회구성주의 교수법에 입각한 장르 기반 교수법을 검토하여 공적 문 어 장르의 저자성 요인을 확정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멀티모달 장르, 특히 교육용 영 상 콘텐츠의 구조화 요인을 타당하게 수립하고자 하였다. 학술적 담화 공동체에서 공 인된 문어 장르 스키마를 기반으로 새로운 장르의 구조화 요인을 연계시키기 위함이 었다. 그리고 이 구조화 요인을 영상 제작에 적용하여 한국어교육을 수월하고 재미있게 할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물론 한국어 초급용 콘텐츠를 제작하였으므로 비판 적 담화 분석 등 사회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과제를 포괄할 수 없었지만 서사의 일 관성과 흥미성, 반복 등 멀티모달 콘텐츠의 구조화 요인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문자 리터러시 연구가 새로이 영토를 확장 중인 멀티모달 장르의 구조적 안정화에 기여되길 바란다. 멀티모달 한국어교육 콘텐츠는 현대인의 디지털 생활양식 접근성을 높이고 언어 교육을 매개로 교수자와 학습자가 서로 소통할 계기 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genre-based teaching methods that are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and looks at factors related to authorship of written public genre. The purpose was to link the structural factors of this new genre to the written genre schema guaranteed by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The structural factor was applied to the actual educational video production to develop content that would help global citizens learn Korean in an easier and fun way. Of course, since this Korean grammar teaching content was aimed at beginner, it could not cover tasks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t theory such a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but it reflected the structuring factors of multi-modal content such as narrative consistency, interest, and repeti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hich reveal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aracter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will contribute to the structural stabilization of the multimodal genre which is newly expanding the territory. Multimodal genres with less time and space constraints are well suited to meet the lifelong education needs of the global learner popul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ll help modern people access the digital lifestyle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instructors and learners through media education.

1.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의 특수성

2. 사회구성주의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 검토

3. 리터러시 간 인지 이해의 전이 가능성 탐색

4. 블렌디드 한국어교육용 콘텐츠의 실제

5. 멀티모달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의 가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