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신자유주의화 이후 비판적 인문사회과학의 위기라는 상황 속에서 이에 대항하는 지식생산체제 구축의 가능성을 시론적 수준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이 글은 일차적으로 대학 밖에서 이루어져온 대항적 혹은 대안적 학술운동의 역사를 시기별로 살펴보면서 각 시기의 특징을 논구할 것이다. 비제도권 학술운동은 각각의 시기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1)1980년대, 급진적 사회운동의 맥락에서 전개되어온 학술운동, (2)1990년대, 포스트-담론의 유행을 선도하고 연구주제의 다양화를 수행한 학술운동 (3)2000년대, 인문학의 대중화와 연구공동체 중심의 학술운동 (4)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의 비제도권 학술·연구단체의 확산. 이어서 본 논문은 현재의 비제도권 지식운동, 즉 2010년대 중반이후부터 2010년대 말까지 대항적 학술운동의 운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동시대 대항적 학술운동의 특징은 (1)연구주제의 전문화, 연구자들의 자구적 활동, 연구단체의 플랫폼화와 (2)연구단체들 간의 네트워킹 강화를 통한 비판적, 진보적 인문사회과학의 학술적 토대를 재구축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이 글은 대학 밖 학술운동의 대안적 성격은 제도로부터의 완전한 탈주, 혹은 제도의 해체를 통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학제도와 협력과 긴장을 동시에 갖는 관계 형성을 통해서 강화되는 것임을 주장하자고 한다.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knowledge production system at the level of pilot study in the face of a critical crisi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fter the neoliberalization of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is article will first look at the history of the counter or alternative academic movement outside the university and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non-institutional academic movement exhibi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period: (1)the academic movement developed in the context of the radical social movement in the 1980s; (2)the academic movement that led the trend of post-diction and carried out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in the 1990s; (3)the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and the academic movement centered on the academy and the research community in the 2000s. (4)The proliferation of non-institutional academic and research organizations from the late 2000s to the mid-2010s. This paper then attempts to analyze the current non-institutional knowledge movement, i.e. the movement of the counter-academic movement from the mid-2010s to the end of 2010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temporary counter academic movement are as follows: (1) Specializing research subjects, self-help activities of researchers, platforming of research organizations (2) Rebuilding a academic foundation of critical and progressiv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rough strengthening networking among the research organizations. In conclusi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article seeks to discuss the alternative nature of the out-of-university knowledge movement in relation to the university system.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e article argues that the alternative nature of the academic movement outside the university is not created through complete flight from the system or through the dissolution of the system, but through the formation of a relationship that has both cooperation and tension with the university system.
1. 비판적 지식생산을 위한 제도와 비제도의 변증법을 위하여
2. 비제도권 지식운동의 연대기
3. 동시대 비제도권 지식운동의 양상과 특징
4. 비판적 학문의 생태계 혹은 탈제도와 제도의 변증법이라는 질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