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949.jpg
KCI등재 학술저널

개방성의 깊이: 레비나스의 윤리적 개방성

The Depth of Openness: Emmanuel Levinas’s concept of ethical openness

  • 183

이 글에서는 개방의 조건 및 정당성 문제와 관련하여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윤리적 개방성 개념을 주로 다룬다. 레비나스가 내세우는 주체와 타자 사이의 윤리적 관계의 특징은 첫째, 주체가 아닌 타자의 우위, 둘째 타자의 호소에 대한 주체의 구체적 응답이라는 두 계기를 중심으로 이해될 수 있다. 레비나스에서 타자의 우위가 강조됨에 따라 감성에서도 주체 위주의 ‘향유’보다는 주체의 수동성과 타자의 영향이 한층 부각된다. 고통과 ‘상처받기 쉬움’이 주체의 감수성에서 중심을 이루게 되는 이유다. 또 주체 자체가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까닭에 주체에는 이미 타자가 근접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이에 따라 주체가 타자에 대해 응답하는 관계인 책임도 근접해 있는 타자에 대한 ‘대신함’이라는 방식을 띠게 된다. 이렇듯 레비나스는 주체의 됨됨이 자체에 타자에 대한 관계가 배어 있으며, 타자에 대한 노출과 개방성은 우리 삶의 피할 수 없는 조건을 이룬다고 보고 있다. 레비나스가 내세우는 타자의 ‘얼굴’은 그러한 노출과 개방의 직접적 접촉면으로서, 낯섦과 가까움, 다름과 같음, 무한과 유한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는 이 얼굴의 깊이를 통해, 낯선 타자들에 대한 열림의 자세를 가다듬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mainly deals with Emmanuel Levinas’s concept of ethical openness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and justification of openn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at Levinas promotes can be understood based on two moments: first, the priority of the other, not the subject, and second, the subject s concrete response to the appeal of the other. As the priority of the other is emphasized in Levinas, the passivity of the subject and the influence of the other are more emphasized than the subject-centered “enjoyment” in sensibility. This is why pain and “vulnerability” are central to the sensitivity of the subject. In addition, because the subject itself is considered to be formed through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 it is recognized that the other is already close to the subject. That is the proximity of the other. Correspondingly, the subject s responsibility to the other takes on a form of ‘substitution’ for the other. Therefore, Levinas believes, the subject has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in itself, and the exposure and openness to the other is the inevitable condition of our lives. Levinas s “face” of the other is a direct contact area of the exposure and openness, and plays a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the strange and the close, the different and the same, and the infinite and the finite. Through the depth of this face, we will be able to refine the attitude of openness to stranger

1. 개방의 조건

2. 개방성과 타자

3. 향유와 상처받기 쉬움

4. 근접성과 대신함

5. 얼굴과 개방성

인용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