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Critical Analysis of Chakrabarty’s Explanatory Model of the Anthropocene: From a Hermeneutic of Scale to One of Intensity

  • 22
153949.jpg

인류세는 인간의 사유와 행동을 급변시키는 물질-기호적 배치로 정의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인류세는 인간과 비인간 간의 주류적 관계망의 유효성을 파기해버리는 문제적 시간이자 문제적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행위자-연결망 이론과 물질 페미니즘의 방법론을 통해, 장기 지구역사와 단기적 인간 역사 간의 규모의 충돌에 기반하여 인류세의 난국을 조망해내는 차크라바티의 설명틀을 비판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차크라바티가 제안하는 규모의 해석학을 대체하는 강도의 해석학을 고안해 볼 것이다. 강도의 해석학이란 인류세의 양가적 시간성으로 인한 사유와 행위의 난국을 타개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강도의 해석학을 통하여, 라투르가 제안하고 있는 어스 바운드 개념이 지구 행성주의적 거시 모델로 읽히는 오류들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것이 인간 몸과 비인간 물질성 간의 상호침투를 긍정하고 확인하는 얽힘의 모델임을 논증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이 논문은 인류세 시대 속에서 살아가기 위한 새로운 존재론적 조건을 분석,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Anthropocene is a material-semiotic assemblage that produces an upheaval in thought and action. It is a problem-time and problem-space that calls into question the hegemonic pattern of network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By adopting actor-network theory and material feminism as new methodological approaches, I propose a critical analysis of Chakrabarty’s explanatory model of the Anthropocene based on a collision of scale between deep time and short time, the planetary and the global. I then elaborate a hermeneutic of intensity to replace the hermeneutic of scale that Chakrabarty suggests. This hermeneutic of intensity extends beyond the impasse Chakrabarty faces to co-articulate different histories. Next, through the prism of the hermeneutic of intensity, I revisit the concept of being “Earthbound,” coined by Latour, to affirm the model of entanglement between human corporeality and nonhuman materiality.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new parameter of ontology and ethics for existing in the Anthropocene.

Introduction

Collision Model of the Two Different Scales

From a Hermeneutic of Scale to a Hermeneutic of Intensity

Deepening the Notion of the Earthbound through the Lens of a Hermeneutic of Intensity

Conclusion

Works Cite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