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문 교육과정에서의 주요 용어 및 개념 연구
A Study on Terms and Concepts of Writing Curriculums - From the 4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Focusing on ‘Classification of Text’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 한국리터러시학회
- 리터러시 연구
- 리터러시 연구 9권 4호
-
2018.11269 - 299 (31 pages)
-
DOI : 10.37736/kjlr.2018.11.9.4.269
- 187

본 연구는 제4차 교육과정(1981)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2015)까지 작문 교육과정에 등장한 주요 용어와 개념을 문종 분류 및 내용의 조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것이 변화한 양상과 그 이유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문종분류의 경우 제4차에서 처음으로 수사학의 논의를 토대로 인간의 심리 작용에 따라 정서적인 글과 논리적인 글로 구분하는 방식이 적용되었고, 제5차에서는 설명, 서사, 묘사, 논증이 글을 분류하는 방식으로 제시되었다. 6차 이후화용론의 논의를 토대로 정보 전달, 설득, 친교, 정서 표현이란 분류 방식을적용하였고 교육과정마다 다소 편차를 보이고는 있지만 2015 개정까지 이어지고 있다. 내용의 조직에 있어서도 통일성(unity)과 일관성(coherence)이수사학에 기초하여 4차에서 처음 등장하였지만 7차부터는 텍스트 언어학의개념으로 통일성(coherence)과 응집성(cohesion)이 규정되고, 연결성, 결속성, 일관성 등의 여러 용어들이 혼용되면서 개념적 혼란을 유발하고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내용의 조직, 구성, 전개 등도 교육과정마다 다르게 사용하면서 용어 및 개념의 혼란을 유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jor concepts and terms that emerged in the writing curriculums(from the 4th to the 2015 revision),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of text and the organization of contents. In the 4th curriculum, it applied a method of distinguishing emotional and logical writing according to human psychology based on the discussion of rhetoric. In the 5th curriculum, explanation, narratives, descriptions, and arguments were applied in a way that categorizes the text. The Concepts of tongilseong(unity) and ilgwanseong(coherence) appeared in 4th curriculum based on rhetoric, but from 7th curriculum, tongilseong(coherence) and eungjibseong(cohesion) were defined as the theory of text-linguistics. But several terms(yeongyeolseong, gyeolsogseong, ilgwanseong) are mixed and eventually lead to conceptual confusion. In addition, organization,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contents are also used differently in each curriculum, causing confusion of terms and concepts.
1. 들어가며
2. 제4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변천
3. 작문 교육과정에서의 문종(文種) 분류
4. 작문 교육과정에서의 내용의 조직
5. 마무리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