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글쓰기 재외국민반 운영의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about University Writing Course at Classes of Overseas Koreans
- 한국리터러시학회
- 리터러시 연구
- 리터러시 연구 제11호
-
2015.05161 - 188 (28 pages)
- 97

이 연구는 대학 내 재외국민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분야 중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 방안을 한 대학의 사례를 통해 모색하고자 한다. 대학 글쓰기 재외국민반 운영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이들에게 알맞은 독자적인 커리큘럼의 개발 없이 일반 내국인 학생과 동일한 방식과 교재로 수업이 진행된다는 사실에 있다. 재외국민반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강의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다음을 유의해야 한다. 첫째, 재외국민반 대상 학생들의 수준별 분반 편성은 입학 전형 유형 분류와 한국어 능력 시험 결과를 병행하여 상급반·중급반·하급반으로 구분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둘째, 재외국민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한국어 구사 능력에 취약성을 보이므로 이들에게 효율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소수 수강 인원의 확보와 능력별로 세분화된 분반이 추가로 필요하다. 셋째, 재외국민반 특성에 알맞은 맞춤형 교육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분반별 혹은 수준별로 독립적인 커리큘럼 구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독자적인 교재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넷째, 과제물 평가는 첨삭 작업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대면 첨삭의 장점을 취하면서도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기 위해 수업 중 공개 첨삭의 방식을 도입한다. 특히 한국어 교육원이나 글쓰기 센터와 연계하여 첨삭의 단계 및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way of improvement about university writing course at classes of overseas Koreans. Most overseas Koreans who entered university in Korea faced with difficulties in the classes about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So professor should teach them to recognize their problems with linkage of Writing Center in university. They were given the classes of three different teaching methods and their accomplishments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verseas Koreans should organize a placement by level test. The placement is considered the entrance examination type and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results we should divide into high classes, middle classes and low classes. Second, we should consider a number of overseas Koreans unlike regular students. The ability to speak Korean of overseas Koreans weaker than normal students. So in order to conduct effective training it requires them to appropriate personnel. Third, we need to create their own teaching materials for overseas Koreans. If they prepare their own teaching material it can be decent education for their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easy to separate curriculum consists of levels.
1. 서론
2. 대학 글쓰기 재외국민반 운영의 문제점
3. 대학 글쓰기 재외국민반 운영의 개선 방안
4.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