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4034.jpg
학술저널

북한의 역사교사 양성과 역사교육

North Korean History Teacher Training and History Education

  • 144

해방 이후 한국은 분단으로 인해 갈등과 대결이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남과 북의 이질적 성향이 점점 짙어져 현재까지 이르렀다. 분단 70여 년이 지난 지금, 이제 통일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통일 이후 학교 교육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역사 교원양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북한의 자료를 통해 북한 역사 교원양성의 역사를 살펴보고 그 현황을 제시하였다. 또한 북한 사범대학의 역사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살펴보았으며, 북한 역사교사와 학교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남한의 역사교사 양성과 비교할 수 있으며, 통일 이후 북한 역사교육 인력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통일 역사교육의 방향을 어떻게 세워야 할 것인지 고찰할 수 있었다. 향후 이와 관련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여 한반도 통일 이후 교육을 준비해 나가야 할 것이다.

After liberation, the division of Korea led to conflict and confrontation. In this process, the heterogeneous tendencie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grown increasingly deep and have reached the present day. Now, more than 70 years after division, it is time for various discussions and preparations for unification. Now, more than 70 years after division, it is time for various discussions and preparations for unification.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training of history teachers as part of an effort to stably operate school education after unification. First, I examined the history of training North Korean history teachers through North Korean data and presented the current situation. In addition, it examined how the history and curriculum of the North Korean Normal University was operated, and how North Korean history teachers and school education were conduct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South Korean history teacher training process with the North Korean history teacher training process. In addition, after unification, it was possible to review ways to utilize North Korean history education personnel and establish a direction for unification history education. In the future, various discussions related to this should be conducted to prepare for education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Ⅰ. 머리말

Ⅱ. 북한의 역사 교원 양성

Ⅲ. 북한의 역사과 교육과정 운영과 역사교사 양성

Ⅳ. 맺음말

로딩중